
27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열린 ‘우토로국제대책회의’ 결성식에서 일본 ‘우토로를 지키는 모임’의 다가와 아키고 대표(오른쪽 두번째)와 사이토 마사키 사무국장(맨오른쪽)이 참석한 가운데 결의문이 낭독되고 있다. 김종수 기자
의원·시민 ‘대책회의’ 띄워
고향방문·모금활동 펴기로 강제철거 위기를 맞은 일본의 강제징용 조선인마을 ‘우토로’ 문제 해결을 위해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과 국회의원 등이 모임을 꾸리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지구촌동포청년연대, 동북아평화연대 등 시민단체들과 이광철(열린우리당)·나경원(한나라당) 의원 등은 27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교육장에서 ‘우토로 국제대책회의’(상임대표 박연철 변호사) 발족식을 하고, 지원대책 등을 논의했다. 우토로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교토비행장 건설을 위해 강제 징집된 조선인들을 집단 수용한 6400여평 규모의 마을 이름이다. 현재 65세대 203명의 조선인과 그 자손들이 거주하고 있다. 우토로는 비행장 건설 공사를 진행하던 일본국제항공공업의 후신인 닛산자동차가 1987년 주민들 몰래 땅을 팔면서 문제가 됐다. 주민들은 88년부터 법정 투쟁을 전개했으나 2000년 최고재판소에서 패소 판결을 받아 쫓겨날 위기에 처해 있다. 이날 발족식에 참석한 ‘우토로를 지키는 모임’의 다가와 아키코 대표는 “우토로 문제는 전후 보상 문제이자 인권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일본인의 한 사람으로서 일본 정부가 강제징용자들에게 아무런 보상도 안 하고 쫓아내려는 것에 대해 부끄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사이토 마사키 사무국장도 “1987년 수돗물도 공급되지 않는 우토로 마을 이야기를 들은 뒤로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며 “일본에서 배제되고 한국에서도 버려진 이들을 돕기 위해 함께 한·일 시민이 함께 힘을 합치자”고 말했다. ‘우토로 문제를 생각하는 국회의원 모임’ 소속으로 지난주 현지를 방문하고 돌아온 이광철 의원은 “강제 징용된 이들에게 조국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국회 차원에서 최선의 지원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책회의는 우토로 1세들의 고향방문과 토론회·사진전·공연 등의 홍보 활동을 펼치고, 모금 캠페인과 함께 일반 시민들의 우토로 견학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