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이사람] “독도연구 왜 일본자료 활용 안하나”

등록 2008-09-04 19:08수정 2008-09-05 02:08

박병섭(66·사진)
박병섭(66·사진)
‘독도는 일본땅’ 연구진에 맞서는 ‘재일 논객’ 박병섭씨
30년 회사원, 독학끝 역사이론 ‘무장’
일 우익학계 시모조 교수의 ‘천적’ 활동
“폐쇄적 연구 한계” 지피지기 분발 당부

현재 일본에서 독도에 대해 가장 활발한 발언을 하는 사람은 시모조 마사오(58) 다쿠쇼쿠대학 교수이다. 2005년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 이후 그가 쓴 독도 관련 논문이나 기고문은 연간 5~6편을 헤아린다. 당시 시마네현이 만든 ‘다케시마연구회’의 좌장을 맡아 2년간의 연구 끝에 ‘다케시마 문제에 관한 조사 연구 최종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그는 현재 시마네현의 ‘웹 다케시마 문제 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이 연구소 홈페이지에 ‘실사구시’라는 방을 통해 동북아역사재단,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의 독도 연구 논문을 맹렬히 비판하고 있다.

그의 비판 대상 중에는 ‘반월성’이란 필명으로 일본에서 활동중인 재일동포 독도연구가 박병섭(66·사진)씨도 포함돼 있다. ‘반월성 통신’이란 인터넷 홈페이지와 책자를 통해 2000년 이후 독도가 한국 땅임을 입증하는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해온 박씨의 주요한 논박 대상도 시모조 교수이다. 말하자면 시모조 교수와 박씨는 독도문제에 관한 한 천적인 셈이다.

박씨는 지난 6월 영남대에서 펴낸 <독도연구>(제4호)에 실린 ‘시모조 마사오 논설을 분석한다’는 논문을 통해 그 주장의 허구성을 낱낱히 지적했다. 특히 1877년 메이지 정부의 국가최고기관인 태정관에서 “다케시마(당시 울릉도 지칭) 외 1도는 일본 땅이 아니다”라고 지령을 내린 사실의 해석을 둘러싸고 ‘1도가 독도를 지칭한 것이 아니라’는 시모조 교수의 주장을 통렬히 논박했다.

그는 “1987년 태정관 지령을 처음 발굴한 호리 가즈오(교토대 교수)를 비롯해 나이토 세이추(시마네대 명예교수) 등 일본 학자들도 ‘1도가 독도’라고 해석을 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시모조는 이 해석에 대해 오랫동안 침묵하다가 2004년 이후 ‘외 1도는 불분명하다’고 주장하더니 그 후 해마다 자신의 주장을 바꾸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케시마=독도 논쟁>(나이토 세이추와 공저, 2007년 12월 신간사), <안용복 사건에 대한 검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년 12월) 등 독도 관련 저서와 논문 5~6편을 펴낸 박씨는 사실 대학에서는 사학과 거리가 먼 물리를 전공했다. 졸업 뒤 일본 회사에서 30년 넘게 평범한 회사원으로 근무한 그는 “역사의 진실을 알고 싶다”는 마음에서 한-일간 역사를 혼자서 공부했다. 95년 10월부터 일본의 식민통치와 전후 책임 문제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반월성 통신’이란 이름으로 인터넷에 올리기 시작해 현재 979건의 논문과 각종 글을 발표했다. 특히 96년 6월8일부터 연재한 종군위안부 관련 글은 100회까지 이어져 보수적인 <요미우리신문>에도 보도되는 등 큰 반향을 불렀다.

“을사조약의 합법성 문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문제, 일본군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 글을 올리자 일본 우익들이 맹렬히 공격을 해오더군요. 상대방의 공격에 침묵할 수 없어 대응하는 차원에서 글을 올리다보니 지금까지 이어졌습니다.”


그렇다고 그의 글이 민족주의 개념을 내세우진 않는다. “역사의 진실은 하나뿐이죠. 독도 문제의 핵심 쟁점인 안용복의 행적을 둘러싼 진실도 한-일간에 격차가 큽니다. 그 격차를 좁힘으로써 진실에 접근할 수 있다고 봅니다. 내 연구가 (한-일 양국) 사회에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는 “독도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주장이나 활동이 일본 내 여론을 거의 움직이지 못한다”고 지적하며 적극적인 일본 내 정보전달 활동을 주문했다. “주일 대사관과 한국문화원에 독도 강연회 같은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요청했지만 정치 관련 행사는 곤란하다는 답변만 들었습니다. 민단 차원에서도 소극적이고요.”

그는 또 한국 역사학자들도 독도 문제와 관련해 일본 쪽 자료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고 ‘1국주의 연구’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면서 분발을 당부했다.

도쿄/글·사진 김도형 특파원 aip2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경찰, 윤 퇴진 ‘촛불행동’ 6300명 정보 확보…집회 족쇄 채우나 1.

경찰, 윤 퇴진 ‘촛불행동’ 6300명 정보 확보…집회 족쇄 채우나

의협 쪽 “2025 의대 증원 ‘감축’이라도 해야 정부와 대화 가능” 2.

의협 쪽 “2025 의대 증원 ‘감축’이라도 해야 정부와 대화 가능”

‘한강 노벨상’ 따지러…스웨덴 대사관 몰려간 ‘부끄러운 보수단체’ 3.

‘한강 노벨상’ 따지러…스웨덴 대사관 몰려간 ‘부끄러운 보수단체’

서울 한복판 ‘윤석열 퇴진’ 집회…“불안해서 못 살겠다” 4.

서울 한복판 ‘윤석열 퇴진’ 집회…“불안해서 못 살겠다”

[단독] 배출권거래제 ‘구멍’…제철소 멈췄다고 3년간 2천억가량 이윤 5.

[단독] 배출권거래제 ‘구멍’…제철소 멈췄다고 3년간 2천억가량 이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