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가 주최하는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 공청회가 전교조 소속 교사 등의 저지로 무산됐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소속 교사 등 50여명은 3일 오후 교육부의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 공청회장인 서울 종로구 삼청동 교원소청심사위원회 대강당 단상을막아 공청회 개최를 저지했다.
교사들은 `학교 공동체 파괴하는 교원 평가 반대' `들러리 공청회 결사반대'`교원평가 중단하고 교육재정 확보하라' 는 등의 구호를 외치고 피켓팅시위를 벌이면서공청회 개회를 막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공청회 개최는 취소하고 교원단체 등과의 대화는 계속하겠다"면서도 "교원평가 시범학교 운영은 계획대로 실시하겠다"고 밝혀 교육현장에서 교원단체들과의 충돌이 예상된다.
이에 앞서 전교조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한국교직원노동조합(한교조) 등 교원3단체 대표들은 교원소청심사위원회 대강당 앞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교육부는 오늘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공청회를 하루 앞두고 2007년도 교원평가 전면 실시를 기정사실화 해 교원단체들을 들러리로 만들었다"며 당초 참여키로했던 공청회 불참을 선언했다.
교원3단체는 공동 기자회견문을 통해 "교사 개개인에 초점을 맞춰 교사간의 경쟁을 유발하는 교원평가제도는 협력과 참여를 바탕으로 해야 할 학교공동체를 황폐화시킨다"고 전재하고 "올바른 학교교육발전을 위한 근본 방안을 교원단체와 함께마련할 것을 촉구한 바 있으나 교육부는 교원평가 실시 방침을 일방적으로 발표하고공청회마저 요식행위로 만들어 버렸다"고 비난했다.
전교조 등은 "교원평가 목적을 자기계발을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학교단위에 교원평가위원회를 구성해 놓고 타율적인 교원평가를 하게 될 경우 교사는 피동적인 존재가 되고 평가를 받기 위한 업무가 교사들을 옥죄게 되며 교사들의 부담은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들 단체는 또 "노무현 정부는 교육정책의 실패를 교사에게 전가하는 교원평가실시방침을 철회하고 공교육 강화를 위한 획기적인 방안을 즉각 마련하라"고 촉구하고 이러한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공동투쟁기구를 구성, 40만 교원의 힘으로 저저지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