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살 이상 노인인구가 500만명을 돌파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를 넘어섰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2008년 고령자 통계’를 보면, 올해 7월1일 현재 우리나라의 65살 이상 노인인구는 501만6천명으로 총인구의 10.3%를 차지해,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절대인구 500만명과 비중 10%를 돌파했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살 이상 인구 비율이 7.2%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고,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2026년에는 20.8%가 되어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에는 14살이하 유소년인구 100명당 노인인구가 59명인데, 2016년에는 노인인구가 유소년 인구보다 더 많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노인인구를 15~64살의 생산가능인구로 나누어 구하는 노년부양비는 올해 14.3%로, 생산가능인구 7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는 셈이다.
65살 이상 고령자의 이혼은 지난해 여자 기준으로 1427건으로 2006년보다 14.1%, 10년 전 보다는 5.8배 증가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