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 양윤재 서울시 부시장 체포…“고도제한 해제관련 1억 받은 혐의”
검찰이 서울시의 청계천 복원 및 주변 상가 재개발 사업과 관련한 비리 의혹에 대해 전면적인 수사에 나섰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유재만)는 6일 청계천 복원사업과 관련해 건설업자한테서 1억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양윤재(56) 서울시 행정2부시장을 체포해 조사를 벌였으며, 7일 양 부시장의 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검찰은 양 부시장 외에 다른 서울시 간부들도 이 사건에 연관된 단서를 잡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검찰은 양 부시장이 2002년 8월∼2003년 7월 청계천복원 추진본부장으로 일할 당시 을지로2가 수하동 주변의 고도 제한을 풀어달라는 청탁과 함께 건축업자 ㄱ아무개씨한테서 1억원을 받은 혐의를 사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청계천 복원사업과 관련해 지난해 말 청계천 인근의 을지로·종로 주변에 30층 이상의 고층 건물을 지을 수 있도록 고도 제한을 풀어줬으며, 검찰은 양 부시장이 이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청계천 사업과 관련해 양 부시장 외에 다른 사람이 연루된 정황도 포착하고 있다”고 말해, 수사가 이 사업을 둘러싼 비리 전반으로 확대될 것임을 내비쳤다. 검찰은 이 사업 추진 과정에서 건설업자들이 서울시 간부들을 상대로 대대적인 로비 공세를 펼쳤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오래전부터 내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검찰 관계자는 이날 “이번 사건은 단발에 그칠 사안이 아니다”라며 “어느 쪽으로 수사가 진행될지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검찰의 수사가 양 부시장의 ‘윗선’까지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
검찰 1년 내사···“양 부시장 이후까지 본다” 검찰이 6일 청계천 복원사업을 둘러싼 비리의 단서를 잡고 서울시의 최고위급인 양윤재 부시장을 전격 체포함에 따라, 검찰 수사의 칼끝이 어디까지 미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검찰은 일단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면서도, 이번 수사가 단순히 양 부시장의 개인비리 차원에 그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날 “단발 사건이 아니고 양 부시장 이후까지 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윗선으로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수사해봐야 알겠지만, 옆으로도 갈 수 있다”고 말해 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특히 이 관계자는 “수사가 장기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해, 검찰이 이미 청계천 사업을 둘러싼 비리의 실체를 상당 부분 파악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이 사건 관련자들 사이에서는 검찰이 지난해 초 관련 첩보를 입수하고 1년 넘게 업자 등을 상대로 폭넓은 비리 정보를 조사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검찰이 우선 수사하는 대목은 서울시가 청계천 복원사업을 추진하면서 주변 재개발 지역에 무리하게 층고 제한을 대폭 완화한 과정이다. 실제 양 부시장에게 뇌물을 준 혐의를 받고 있는 부동산 개발업자 ㄱ씨도 을지로2가 주변에 지상 38층 규모의 주상복합건물을 추진해 왔다. 이런 고층 건물은 2003년까지만 해도 ‘도심부 관리 기본계획’에 따라 추진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양 부시장이 본부장을 맡았던 청계천추진본부에서 ‘청계천 복원에 따른 도심부 발전계획’을 세우면서,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이곳의 건물 높이를 110m까지 올릴 수 있도록 바꿨다. 검찰은 이렇게 층고 제한이 완화되면 혜택을 받을 업체들이 많다는 점에서, 다른 업체들로부터도 뇌물이 오갔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청계천 복원사업과 관련해서도 청계천복원사업 추진본부 고위 관계자가 업체 쪽에 거액의 리베이트를 요구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내사를 벌여온 것으로 알려져, 결과가 주목된다. 한편, 감사원이 현재 서울시 감사를 진행하면서 청계천 복원사업도 조사 대상으로 삼아 위법성 여부를 조사하고 있는 것도 검찰 수사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감사원은 지난 4일로 1차 감사를 마치고, 청계천 사업을 포함해 2차 감사를 이달 말까지 벌일 예정이다. 이춘재 정혁준 정인환 기자cjlee@hani.co.kr
이명박시장 측근 비리연루에 서울시 “개인혐의 불똥 경계” 서울시는 이명박 시장의 측근인 양윤재 행정2부시장(차관급)이 6일 새벽 검찰에 전격 체포되자 곤혹스러워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특히 차기 대통령선거 도전을 꿈꾸는 이 시장의 최대 역점 사업인 청계천 복원과 관련해 양 부시장이 억대의 돈을 받았다는 점에서 서울시는 이번 사건의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더구나 양 부시장은 이 시장의 최측근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힌다. 건축 및 조경 전문가인 그는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청계천 살리기 운동에 앞장섰다. 이 시장이 2002년 시장 선거 공약으로 청계천 복원을 내걸면서 자연스럽게 이 시장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 그는 2002년 8월 서울시 청계천복원 추진본부장으로 임명됐으며, 지난해 7월에는 기술직 업무를 총괄하는 행정2부시장에 올랐다. 이 시장은 그때 30여년 동안 기술직에서 잔뼈가 굵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됐던 시 간부를 제치고 그를 발탁했다. 그는 당시 ‘분당 파크뷰’ 아파트 특혜분양 의혹에 휘말려 있었다. 이 시장은 이날 아침 7시30분께 서울시 주요 간부들과의 비상대책회의에서 “수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전제한 뒤 “하지만 수뢰 혐의가 사실이라면 고위 공무원으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엄벌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장 주변에서는 대체로 ‘양 부시장 개인 혐의’라며 불똥이 이 시장에게 옮아가는 것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이 시장 취임 초에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지낸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은 “수사의 시작은 정치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이 시장의) 모양새가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며 “청계천 복원사업이 결실을 보게 되는 시점에서 터져나와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안의 다른 측근은 “이 시장이 파크뷰 사건으로 검찰 수사에 오르내린 사람을 최측근으로 중용했다는 게 불상사의 시초”라고 말했다. 정혁준 최익림 기자 june@hani.co.kr
검찰 1년 내사···“양 부시장 이후까지 본다” 검찰이 6일 청계천 복원사업을 둘러싼 비리의 단서를 잡고 서울시의 최고위급인 양윤재 부시장을 전격 체포함에 따라, 검찰 수사의 칼끝이 어디까지 미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검찰은 일단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면서도, 이번 수사가 단순히 양 부시장의 개인비리 차원에 그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날 “단발 사건이 아니고 양 부시장 이후까지 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윗선으로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수사해봐야 알겠지만, 옆으로도 갈 수 있다”고 말해 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특히 이 관계자는 “수사가 장기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해, 검찰이 이미 청계천 사업을 둘러싼 비리의 실체를 상당 부분 파악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이 사건 관련자들 사이에서는 검찰이 지난해 초 관련 첩보를 입수하고 1년 넘게 업자 등을 상대로 폭넓은 비리 정보를 조사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검찰이 우선 수사하는 대목은 서울시가 청계천 복원사업을 추진하면서 주변 재개발 지역에 무리하게 층고 제한을 대폭 완화한 과정이다. 실제 양 부시장에게 뇌물을 준 혐의를 받고 있는 부동산 개발업자 ㄱ씨도 을지로2가 주변에 지상 38층 규모의 주상복합건물을 추진해 왔다. 이런 고층 건물은 2003년까지만 해도 ‘도심부 관리 기본계획’에 따라 추진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양 부시장이 본부장을 맡았던 청계천추진본부에서 ‘청계천 복원에 따른 도심부 발전계획’을 세우면서,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이곳의 건물 높이를 110m까지 올릴 수 있도록 바꿨다. 검찰은 이렇게 층고 제한이 완화되면 혜택을 받을 업체들이 많다는 점에서, 다른 업체들로부터도 뇌물이 오갔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청계천 복원사업과 관련해서도 청계천복원사업 추진본부 고위 관계자가 업체 쪽에 거액의 리베이트를 요구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내사를 벌여온 것으로 알려져, 결과가 주목된다. 한편, 감사원이 현재 서울시 감사를 진행하면서 청계천 복원사업도 조사 대상으로 삼아 위법성 여부를 조사하고 있는 것도 검찰 수사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감사원은 지난 4일로 1차 감사를 마치고, 청계천 사업을 포함해 2차 감사를 이달 말까지 벌일 예정이다. 이춘재 정혁준 정인환 기자cjlee@hani.co.kr
|
||||||
이명박시장 측근 비리연루에 서울시 “개인혐의 불똥 경계” 서울시는 이명박 시장의 측근인 양윤재 행정2부시장(차관급)이 6일 새벽 검찰에 전격 체포되자 곤혹스러워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특히 차기 대통령선거 도전을 꿈꾸는 이 시장의 최대 역점 사업인 청계천 복원과 관련해 양 부시장이 억대의 돈을 받았다는 점에서 서울시는 이번 사건의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더구나 양 부시장은 이 시장의 최측근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힌다. 건축 및 조경 전문가인 그는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청계천 살리기 운동에 앞장섰다. 이 시장이 2002년 시장 선거 공약으로 청계천 복원을 내걸면서 자연스럽게 이 시장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 그는 2002년 8월 서울시 청계천복원 추진본부장으로 임명됐으며, 지난해 7월에는 기술직 업무를 총괄하는 행정2부시장에 올랐다. 이 시장은 그때 30여년 동안 기술직에서 잔뼈가 굵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됐던 시 간부를 제치고 그를 발탁했다. 그는 당시 ‘분당 파크뷰’ 아파트 특혜분양 의혹에 휘말려 있었다. 이 시장은 이날 아침 7시30분께 서울시 주요 간부들과의 비상대책회의에서 “수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전제한 뒤 “하지만 수뢰 혐의가 사실이라면 고위 공무원으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엄벌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장 주변에서는 대체로 ‘양 부시장 개인 혐의’라며 불똥이 이 시장에게 옮아가는 것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이 시장 취임 초에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지낸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은 “수사의 시작은 정치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이 시장의) 모양새가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며 “청계천 복원사업이 결실을 보게 되는 시점에서 터져나와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안의 다른 측근은 “이 시장이 파크뷰 사건으로 검찰 수사에 오르내린 사람을 최측근으로 중용했다는 게 불상사의 시초”라고 말했다. 정혁준 최익림 기자 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