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경영효율화 지침 영향…19곳은 0명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등 주요 30개 공공기관들의 올해 신규인력 채용이 지난해의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공공기관 가운데 3분의 2 가량인 19곳은 올해 신규인력 채용을 전혀 하지 않고 있는데다, 앞으로 언제 채용할지도 불확실한 상황이다.
이런 채용 한파는 공기업 구조조정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아 여러 공공기관들이 중장기 경영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지난 10월30일 한승수 국무총리가 공공기관들을 향해 10%의 경영 효율화를 주문하면서 이 방침이 10%의 인원 구조조정 촉구로 해석되고 있는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23일 기획재정부와 공공기관 쪽 집계현황을 보면, 한국전력과 토지공사, 주택공사 등 주요 공기업, 준정부기관이 올해 신규 채용했거나 채용할 계획이 잡힌 인원은 946명으로 지난해 2839명에 견줘 66.7%나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수력원자력(지난해 400명 채용)과 주택공사(195명), 도로공사(146명), 농촌공사(135명), 토지공사(130명) 등은 올해 신규인력을 채용하지 않는다. 기술신용보증기금(80명), 주택금융공사(53명), 신용보증기금(32명), 수자원공사(88명), 한국공항공사(85명), 인천공항공사(40명) 등도 채용계획이 없다.
대한주택보증(작년 13명), 마사회(14명), 한국감정원(31명), 예금보험공사(18명)도 올해는 채용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매년 상·하반기로 나눠 인력을 채용하는 한국전력은 지난해 470명, 올해 상반기 200명을 각각 뽑았지만 하반기에는 채용 계획이 없다. 석유공사는 올해 채용인원이 21명으로 지난해 88명의 4분의 1 수준에 그친다.
다만 기업은행이 지난해 404명보다 많은 472명을 채용 중이고, 지난해 76명을 뽑은 산업은행이 올해 116명을 뽑을 계획이다. 이 두 국책은행을 제외하면 28개 공공기관의 올해 채용인원은 지난해의 6분의 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공공기관들은 통폐합 등 정부의 ‘공공부문 선진화 계획’에 따라 앞으로 추가 인력감축 요인이 발생할 수 있어, 신규인력을 채용했다가 부담이 더 커질 것을 걱정하고 있다.
정남구 기자 연합뉴스 jeje@hani.co.kr
정남구 기자 연합뉴스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