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한자성어 ‘호질기의’
교수신문 선정…“잘못 있어도 충고 꺼린다” 정치권 비판
올해의 사자성어로 ‘잘못이 있는데도 충고 받기를 싫어한다’는 뜻의 ‘호질기의’(護疾忌醫)가 뽑혔다.
<교수신문>은 지난 8~16일 주요 일간지 필자와 각 대학 교수협의회 회장 등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가장 많은 30%가 ‘호질기의’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했다고 22일 밝혔다. 호질기의는 중국 북송시대 유학자 주돈이가 <통서>에서 “요즘 사람들은 잘못이 있어도 다른 사람들이 바로잡아 주는 것을 기뻐하지 않는다. 이는 마치 병을 숨기고 의원을 기피해 자신의 몸을 망치면서도 깨닫지 못하는 것과 같다”고 말한 데서 비롯됐다.
이 조사는 김풍기(강원대·고전비평) 교수 등 8명의 교수로부터 추천받은 사자성어 5개를 추려 벌인 것이다. 호질기의를 추천한 김풍기 교수는 “정치·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올해, 정치권은 국민의 비판과 충고를 겸허히 받아들이려는 자세가 부족했다”며 “문제가 더 커지기 전에 얼른 귀를 열고 국민과 전문가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라는 경고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교수신문>은 “응답자들이 국민과의 소통에 무관심한 정부와 정치권의 태도를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 밖에 △토붕와해(土崩瓦解·사물이 수습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된 상태) △욕속부달(欲速不達·일을 서두르면 도리어 이루지 못함) 등이 올해의 사자성어 후보로 꼽혔다. 지난해에는 사회 지도층의 학력 위조와 논문 표절 등 도덕 불감증을 비판하는 ‘자기기인’(自欺欺人·자신을 속이고 남을 속인다)이 선정됐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