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태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가운데)이 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전국공무원노조와 민주공무원노동조합, 법원공무원노동조합의 통합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전공노 “민공노 상대 법적소송 취하할것”
민공노 “환영”…법원노조 등 8일 첫 협의
민공노 “환영”…법원노조 등 8일 첫 협의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과 민주공무원노동조합(민공노) 등 공무원노조의 통합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다. 전공노와 민공노는 2007년 6월 ‘법외 노조’ 상태를 유지할지를 놓고 지도부 사이에 갈등이 빚어져 갈라졌다. 두 노조가 다시 합치고 법원공무원노동조합 등이 가세하면, 조합원이 적어도 15만명인 거대 공무원노조가 재탄생하게 된다.
전공노는 6일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단결의 틀을 마련하고 신뢰를 높이기 위해 민공노에 대한 모든 법적 소송을 취하하겠다”고 밝혔다. 두 노조는 노동조합 신고증 교부처분 취소 소송, 재산분할 청구 등 민·형사 소송 9건을 서로 거는 등 껄끄럽게 지내 왔다.
손영태 전공노 위원장은 “이번 통합은 100여개로 난립해 있는 모든 공무원 조직을 결집해 30만 공무원노조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공노, 민공노, 법원노조 등은 오는 8일 통합추진기획단 회의를 열어 첫 협의를 할 예정이다. 손 위원장은 “5월1일 노동절 때 통합노조를 출범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지난달 19일 전공노는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참석 대의원의 68.3% 찬성으로 민공노와의 통합 추진을 가결했다.
민공노도 이날 논평을 내어 “공식적인 통합 논의가 시작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정용해 민공노 대변인은 “민공노가 ‘공무원노조 통합을 위한 연석회의’를 제안했던 만큼, 공무원노조의 대통합을 위해 어떤 조건이나 기득권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통합 논의에 속도가 붙은 것은 이명박 정부 들어 공무원 감축, 공무원연금 개혁, 노조 지도부 징계 등 공무원노조와 정부 사이에 마찰이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엔 전공노·민공노 등의 노조원 5만여명이 서울 여의도에서 공공부문 노동자 총궐기대회를 연 바 있다.
그러나 통합 방식·시기 등을 두고 두 노조가 신경전을 펴는 등 분열 과정에서 쌓인 앙금이 완전히 가시지 않은 상태여서 통합에 이르기까진 진통이 예상된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