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 69명 적발
지난해 하반기 경기 불황이 심화되면서 생활비·용돈 등을 벌려고 성매매를 하다가 적발된 청소년 수가 상반기보다 갑절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가족부 청소년보호중앙점검단은 29일 지난해 하반기 성매매 단속 과정에서 보호 대상이 된 청소년이 69명으로 상반기 36명의 두 배 가까이 늘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경제 한파 가운데 청소년들이 용돈벌이 성매매 유혹에 쉽게 빠져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점검단이 지난해 성매매를 하다가 단속된 청소년 103명의 유형을 분석한 ‘2008 청소년 성매매 단속 사례집’을 보면, 성매매 동기는 생계비 마련이 44.4%, 용돈·유흥비 마련이 38.2%였다. 성매매 청소년은 가출한 청소년이 80.8%, 학교를 중퇴한 청소년이 51.7%에 이르렀다.
경제난으로 가정이 해체됐거나 해체 위기에 놓인 가정에서 가출한 청소년들이 생활비와 용돈·유흥비 등을 벌려고 성매매에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청소년들이 받은 성매매 대가는 10만원 이상이 75.4%였고, 5만~10만원 미만이 10.8%, 5만원 미만이 12.3%였다. 성매매는 일반적인 아르바이트에 견줘 짧은 시간에 높은 수입을 올릴 수단인 셈이다.
성매매 청소년의 95.4%는 어른들과 접촉하는 수단으로 인터넷을 이용했다고 답해, 청소년 성매매의 주무대가 인터넷이라는 점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복지부는 ‘인터넷 청소년 성매매 실태조사 연구’에 들어가는 한편, 인터넷 성매매 유인을 처벌할 수 있도록 청소년보호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