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광재 열린우리당 의원이 12일 국회 의원연구모임인 ‘의정연구센터’와 자신이 함께 주최한 ‘선진국은 지금 무엇을 고민하고 있는가’란 주제의 세미나에 참석하기 위해 국회 의원회관 회의장에 들어서고 있다. 이종찬 기자
국정원쪽 “대출얘기 안해”…‘이광재’ ‘NSC’ 철도공사 메모 확보 김세호 전 건설교통부 차관이 지난해 7월 철도공사의 유전사업 관련 대출 요청을 위해 우리은행 황영기 행장 등 임원들을 만난 자리에 당시 철도청을 담당했던 국가정보원 대전지부 간부들이 동석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 관계자는 12일 “김 전 차관이 지난해 7월 말 유전사업과 관련해 신속한 대출을 요청할 때 황영기 행장 등 우리은행 쪽 최고 임원들이 참석했다”며, “황 행장을 불러 구체적인 경위를 조사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날 구속된 김 전 차관의 영장에는 “김 전 차관이 7월 말께 왕영용 본부장 등과 함께 은행 임원들을 만나 유전사업 건에 대한 신속한 대출을 부탁했다”고 돼 있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이날 “실무자급에서는 대출규정을 어기거나 무리하게 집행한 것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그러나 대출방식을 변경할 때 ‘윗선’에서 청탁을 받았거나 부당한 압력을 가했는지 등은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 차관과 황 행장 등이 만난 자리에 참석한 국정원 직원은 지부장급과 과장급을 포함해 모두 세 명이라고 국정원 관계자는 말했다. 김 전 차관은 “의례적인 만남이었고, 이 자리에서 대출 얘기는 없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 관계자는 “7월에 황 행장이 김세호 당시 철도청장을 만나러 간 자리에 국정원 직원 3명이 함께 있었지만 대출 얘기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라며 “국정원 직원들이 참석하게 된 것은 황 행장이 전에 알고 지내던 한 간부에게 대전에 가는 김에 식사나 같이하자고 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검찰은 이들이 함께 만난 시기가 철도공사의 유전사업 참여가 본격화되기 직전인 만큼, 이 자리의 성격 등에 대한 조사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검찰은 정치권 연루 의혹과 관련해 ‘이광재 의원’, ‘방러일정’, ‘엔에스시(NSC)’ 등이 적힌 철도공사 간부들의 메모를 확보하고, 이 의원이 이번 사업에 직접 개입했는지 등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이번 사건의 핵심 인물들이 노무현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 일정에 맞춰 사업을 추진했으며, 이 과정에 이 의원 등이 직·간접으로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김 전 차관 등을 추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우리은행 관계자는 “허문석씨가 대출 과정에서 은행 관계자들에게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 전에 대출이 이뤄져야 한다’고 재촉했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