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학없는 평화고대’16일 기자회견 열기로
이건희 삼성 회장의 명예박사학위 수여식에서 벌어진 일부 학생단체 소동의 `후폭풍'이 총학생회 탄핵 총투표라는 최악의 상황으로까지 치닫을 전망이다. 지난 2일 벌어진 이 회장 명박학위 수여 저지 소동에서 총학생회의 `폭력성'을지적하며 공식 사과와 재발방지를 요구했던 자발적인 학생단체인 `총학없는 평화고대' 측에 대해 총학생회가 `근거없는 여론몰이'라는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기때문이다. 총학생회에 대한 탄핵안이 발의되면 개교 100주년을 맞는 고려대 역사상 처음일어나는 `사건'으로 1960∼90년대 우리 사회의 민주화와 학생운동에 큰 역할을 했던 고려대 총학생회로서는 큰 상처를 입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주 서명운동을 벌여 총학생회 탄핵안을 발의할 수 있는 성원을 확보한 `총학없는 평화고대'는 16일 교내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마지막으로 총학생회의 사과를요구한 뒤 입장변화가 없으면 불신임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이 모임은 15일 "지난 9∼13일 재학생에게 서명운동을 벌인 결과 2천447명이 서명했고 이 가운데 93% 정도가 총학생회가 사과를 하지 않으면 탄핵안 발의에 찬성한다고 서명했다"고 밝혔다. 이 학교 총학생회 회칙은 재학생 10분의 1 이상의 연서로 총학생회장단에 대한탄학발의를 할 수 있고 중앙운영위원회에서 임시의장을 뽑아 전학대회를 소집, 전학대회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총투표 안건으로 상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에 따라 탄핵안을 발의할 수 있는 성원은 1천800명 선이다.
`총학없는 평화고대'의 이승준씨는 "총학생회장단 탄핵이라는 최악의 상황까지가는 것은 우리도 원치 않는다"며 "원만하고 보기 좋은 모습으로 끝을 맺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모임은 16일 기자회견을 마치고 해산한 뒤 총학생회의 반응을 기다려 조만간탄핵안 발의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총학생회에 대한 `탄핵공방'은 지난해 3월 한국외국어대 일부 학생이 당시 이 학교의 백종호 총학생회장이 한총련 의장에 당선되자 "재학생의 의견수렴 없이 의장에 출마했다"며 비대위를 구성, 서명운동을 벌인 바 있다. 비대위는 `재적인원 10% 이상 불신임시 탄핵안을 발의할 수 있다'는 규정에 따라 재학생의 21% 정도에 해당하는 1천500여명의 불신임 서명을 받았으나 학생회의에서 불신임안 의결 가능성이 작다는 점 등을 들어 총학 퇴진운동을 2개월만에 접었다. 때마침 `대동제'가 열리는 5월을 맞아 재벌 회장의 명예박사학위 수여로 촉발된고려대 학생간 반목이 `대동'으로 마무리 될지, 탄핵안 발의라는 사상 초유의상황으로 결론이 날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