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을지로 2가 등 2곳 공개 8달전부터
‘미래로’ 등 땅 매입·재개발 업종 변경
청계천 비리를 수사하고 있는 검찰은 을지로2가 구역과 세운상가 32지구 도심재개발 구역에 수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가운데 고도제한완화 지역의 윤곽이 드러나기 무려 8개월 전부터 두 지역의 토지 매매 거래가 집중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무렵부터 개발 시행사들이 업종을 변경하고 개발 사업에 뛰어들었다. 이 때는 서울시가 도심부 관리계획을 수정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때문에 두 지역의 고도제한이 크게 완화된다는 방침이 미리 정해졌고, 이 정보가 새나갔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는 2000년 ‘서울 도심부 관리기본계획’을 세우며 서울 도심부 전체의 고도를 90m 이하로 묶었다. 그러나 이명박 시장 취임 이후인 2002년 9월, ‘서울 도심부 관리계획’을 수정하기로 했다. 청계천복원추진본부가 주관해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 연구용역을 맡겼다. 청계천 복원으로 도심부의 교통체계·토지이용·공간구조 등에 큰 변화가 일어날 것에 대비한다는 이유였다. 1977년 도심재개발구역으로 묶인 뒤 변화가 없던 을지로2가 5지구에서 토지 거래가 시작된 것은 이때부터다. 미래로 아르이디(RED)는 2002년 9월부터 이곳 땅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땅주인들로부터 사업시행 동의서도 받았다. 이듬해인 2003년 3월엔 컴퓨터에서 재개발로 업종을 변경했다. 세운상가 32지구 역시 마찬가지였다. 휴먼넥스는 2002년 11월 식품업체 ㅅ사 일가로부터 땅을 사들였다. 한 달 뒤인 12월 유통업에서 재개발로 업종을 바꿨다. 그러나 서울시가 진행하던 용역 연구가 처음 일반인에게 윤곽을 드러낸 것은 2003년 5월이었다. 이때 열린 ‘청계천 복원에 따른 도심부발전계획안 1차 시민대토론회’에서 시정개발연구원은 일률적인 ‘90m 규제’를 푸는 방안을 처음으로 내놨다. 특히 을지로2가구역과 세운상가구역은 ‘전략개발지역’으로 지정해 각각 ‘110m+α’, ‘90m+α’로 지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나왔다. 2004년 2월 열린 2차공청회에서 1차 토론회의 방안이 구체화했고, 2004년 8월 최종 계획이 확정됐다. 시 관계자는 “청계천 개발 계획 수립 초기에 주변 지역이 개발될 것이라는 기대감은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지역에 얼마나 고도규제가 풀리는지는 전혀 알 수 없었다”고 말했다. 개발업체 관계자도 “도심재개발지역은 워낙 소유관계가 복잡하고 사업기간이 길어서 자금력이 있는 종합건설업체가 아니면 함부로 나서지 못하는데, 사업 경험이 없고 자본력이 약한 시행사가 덤벼들었다는 것은 사업성을 확신시켜 주는 ‘끈’이 없고선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유선희, 유신재 기자 edigna@hani.co.kr
‘미래로’서 돈받은 교수 구속
청계천 비리를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유재만)는 15일 미래로 아르이디(RED) 길아무개씨 부자한테서 3천만원씩을 받은 혐의(각각 배임수재와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의 뇌물)로 대학교수 김아무개(52·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선임연구원)씨와 서울 강남구청 국장 박아무개(52·전 청계천복원계획본부담당관)씨의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김 교수 등은 지난해 2월 서울 역삼동의 한 일식집에서 “건물높이 제한을 완화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길씨한테서 각각 3천만원을 받은 혐의를 사고 있다. 이날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영장실질심사에서 김 교수는 “식사가 끝난 뒤 길씨가 택시 안으로 돈이 든 쇼핑백을 밀어넣었지만 뿌리쳤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박 국장은 혐의를 시인했다. 이에 앞서 검찰은 이에 앞서 13일 밤 양윤재(56·구속)서울시 행정제2부시장이 2001년께 운영하던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ㅇ건축설계용역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검찰 관계자는 “양 부시장이 운영한 벤처회사를 통해 금품을 수수했다는 의혹이 있어 압수수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