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연 문건 관련 경찰 발언 종합
“실명 적시됐다” → “지워졌다” → “확보한 명단 없다”
.
탤런트 고 장자연(29·여)씨가 남긴 문건에서 성상납과 술접대를 받은 것으로 거론된 이른바 ‘장자연 리스트’에 대한 경찰 수사가 오락가락하고 있다. 경찰은 애초 ‘장자연 문건’에 이들의 실명과 직책 등이 적시됐다고 밝혔으나, 이들에 대한 수사 여론이 높아지자 “실명이 지워졌다”, “경찰이 확보한 리스트는 없다”는 등 말을 바꾸고 있다. 문제의 리스트에 언론사 대표 등 사회 유력 인사들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부담을 느낀 경찰이 수사를 미적거리는 게 아니냐는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이번 사건을 수사하는 경기 분당경찰서는 지난 15일 <한국방송>으로부터 문건 사본을 넘겨받은 뒤 곧바로 관련자들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서는 등 발 빠르게 움직였다. 당시 경찰은 “문건에 폭행과 성(상납) 강요, 술접대 강요에 대한 이야기가 언급돼 있고, 몇 명의 실명이 거론돼 있다”며, 이른바 ‘리스트’의 존재를 사실상 시인했다. 그러나 바로 이튿날엔 “문건에 언급된 사람들은 관계인 수사를 마무리한 뒤 검토 가능할 수 있다”며 한발 물러섰고, 시간이 지날수록 ‘리스트’의 실체와 진위에 대해 계속 말을 바꾸며 모호한 태도를 보였다. 경찰은 “<한국방송>이 실명을 지워 넘겨줬기 때문에 확보한 문건에는 이름이 없다”(17일), “명단이 아니라 관련자의 진술이 있을 뿐”(18일)이라고 밝힌 데 이어, 19일에는 “경찰이 확보하지 못한 또다른 문건에 리스트가 있는 것 같다”고 말을 바꿨다. 이에 따라 경찰이 이번 사건의 핵심인 성상납 등의 범죄 행위 수사에 소극적인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실제로 일주일 가까이 진행된 경찰 수사는 문건 내용의 진위를 가리는 것보다는 문건의 유출 경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건이 공개된 직후 곧바로 재수사에 나서면서 “문건 내용의 사실관계 확인에 박차를 가해 한 점 의문 없이 수사를 하겠다”고 공언한 것과는 다른 태도다. 이에 대해 경찰은 “문장 구성상 누구인지를 추정할 수 있는 이는 있으나 사람 이름이 죽 나열된 리스트가 담긴 문건은 확보하지 못했다는 얘기”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한국방송> 관계자는 “애초 우리가 입수한 문건은 사본이었고 명단도 지워져 있었지만, 불빛에 비춰 보면 실명이 모두 보인다”며 “당시 경찰 요청으로 지워진 부분을 일일이 복구해 실명이 담긴 명단을 넘겨줬는데 ‘명단이 없다’는 등 다른 소리를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성남/김기성 김성환 이승준 기자 player009@hani.co.kr
탤런트 고 장자연(29·여)씨가 남긴 문건에서 성상납과 술접대를 받은 것으로 거론된 이른바 ‘장자연 리스트’에 대한 경찰 수사가 오락가락하고 있다. 경찰은 애초 ‘장자연 문건’에 이들의 실명과 직책 등이 적시됐다고 밝혔으나, 이들에 대한 수사 여론이 높아지자 “실명이 지워졌다”, “경찰이 확보한 리스트는 없다”는 등 말을 바꾸고 있다. 문제의 리스트에 언론사 대표 등 사회 유력 인사들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부담을 느낀 경찰이 수사를 미적거리는 게 아니냐는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이번 사건을 수사하는 경기 분당경찰서는 지난 15일 <한국방송>으로부터 문건 사본을 넘겨받은 뒤 곧바로 관련자들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서는 등 발 빠르게 움직였다. 당시 경찰은 “문건에 폭행과 성(상납) 강요, 술접대 강요에 대한 이야기가 언급돼 있고, 몇 명의 실명이 거론돼 있다”며, 이른바 ‘리스트’의 존재를 사실상 시인했다. 그러나 바로 이튿날엔 “문건에 언급된 사람들은 관계인 수사를 마무리한 뒤 검토 가능할 수 있다”며 한발 물러섰고, 시간이 지날수록 ‘리스트’의 실체와 진위에 대해 계속 말을 바꾸며 모호한 태도를 보였다. 경찰은 “<한국방송>이 실명을 지워 넘겨줬기 때문에 확보한 문건에는 이름이 없다”(17일), “명단이 아니라 관련자의 진술이 있을 뿐”(18일)이라고 밝힌 데 이어, 19일에는 “경찰이 확보하지 못한 또다른 문건에 리스트가 있는 것 같다”고 말을 바꿨다. 이에 따라 경찰이 이번 사건의 핵심인 성상납 등의 범죄 행위 수사에 소극적인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실제로 일주일 가까이 진행된 경찰 수사는 문건 내용의 진위를 가리는 것보다는 문건의 유출 경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건이 공개된 직후 곧바로 재수사에 나서면서 “문건 내용의 사실관계 확인에 박차를 가해 한 점 의문 없이 수사를 하겠다”고 공언한 것과는 다른 태도다. 이에 대해 경찰은 “문장 구성상 누구인지를 추정할 수 있는 이는 있으나 사람 이름이 죽 나열된 리스트가 담긴 문건은 확보하지 못했다는 얘기”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한국방송> 관계자는 “애초 우리가 입수한 문건은 사본이었고 명단도 지워져 있었지만, 불빛에 비춰 보면 실명이 모두 보인다”며 “당시 경찰 요청으로 지워진 부분을 일일이 복구해 실명이 담긴 명단을 넘겨줬는데 ‘명단이 없다’는 등 다른 소리를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성남/김기성 김성환 이승준 기자 player009@hani.co.kr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