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16 기동상황도 (공군본부 제공)
‘실속’ 훈련중 속도회복 못해
지난 3월31일 충남 태안반도 앞바다에 떨어진 공군 케이에프(KF)-16 사고는 조종사의 서투른 대처로 전투기 속도가 떨어져 양력을 잃고 ‘실속(失速)’ 상태에서 추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속으로 인한 항공기 추락 사고는 국내에서는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규진 공군 정훈공보실장은 22일 “사고 당시 케이에프-16은 적 전투기의 추적을 피하기 위한 급격한 공중 전투 기동 때 일어날 수 있는 실속에 대비한 ‘저속 경고음 인지 및 실속 전 회복 훈련’을 하고 있었다”며 “조종사가 실속 직전에 기수를 낮춰 속도를 높히는 회복 조작을 즉각 하지 못해 상승 각도가 커져 전투기가 배면(뒤집힌 상태) 실속과 조종불능 상태에 빠져 추락했다”고 사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항공기가 공중에서 자체 무게를 지탱하고 날아가려면 바람이 날개를 통과할 때 항공기를 위로 띄우는 힘인 양력이 발생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려면 항공기가 일정 수준 이상의 속도를 내야 한다. 항공기 속도가 설계된 한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양력을 잃고 날아갈 수 없는 실속 상태가 된다.
김 실장은 “사고 당시 양력 상실에 대비하는 훈련을 위해 저속으로 기체를 상승하며 일부러 양력 상실 직전 상태에 들어갔으나 정상 비행으로 회복하는 시기가 늦어져 5700m 상공에서 전투기가 뒤집힌 채 떨어져, 2분28초 만에 바다에 추락했다”고 말했다. 양력을 잃은 케이에프-16 전투기는 10t 쇳덩어리가 공중에서 자유 낙하하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 됐다고 김 실장은 설명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