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각국 권위자 포함…국내 연구진도 협력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난치병 환자 체세포 핵 이식을 통한 배아 줄기세포 배양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 국내외 공동연구그룹 구성이 추진된다. 박기영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은 22일 “황 교수팀의 난치병 환자 배아줄기세포 연구 성과가 확인된 뒤 다음 단계로 국내외 과학자들의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해졌다”며 “이미 외국 유수 과학자들의 공동 연구 제안이 잇따르고 있어 이른 시일 안에 국제 공동연구그룹 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보좌관은 이어 “과학기술부 관계자에게 이런 뜻을 전달했으며, 곧 관계부처 실무자로 구성된 황 교수 연구지원 모니터링팀의 회의가 이번주 중 열려 국제 공동연구그룹 구성과 재원 마련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배아 줄기세포를 통한 세포치료에서 줄기세포 분화기술 연구는 핵심적이지만 황 교수팀 독자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만큼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며 “우선 국내 연구진들이 협력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 연구그룹은 최근 황 교수팀과 공동 연구에 합의한 영국의 이언 윌머트 박사를 비롯해 황 교수에게 공동 연구를 제안해온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난치병 관련 권위자들로 구성될 전망이다. 박 보좌관은 “외국 제약기업 등이 이번 국내 연구팀의 성과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감지됐고, 실제로 주가에서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며 “황 교수의 연구가 원천기술로 기초적 연구이지만 이를 우리나라 생명과학 발전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난치병 환자 체세포 핵 이식을 통한 배아 줄기세포 배양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 국내외 공동연구그룹 구성이 추진된다. 박기영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은 22일 “황 교수팀의 난치병 환자 배아줄기세포 연구 성과가 확인된 뒤 다음 단계로 국내외 과학자들의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해졌다”며 “이미 외국 유수 과학자들의 공동 연구 제안이 잇따르고 있어 이른 시일 안에 국제 공동연구그룹 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보좌관은 이어 “과학기술부 관계자에게 이런 뜻을 전달했으며, 곧 관계부처 실무자로 구성된 황 교수 연구지원 모니터링팀의 회의가 이번주 중 열려 국제 공동연구그룹 구성과 재원 마련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배아 줄기세포를 통한 세포치료에서 줄기세포 분화기술 연구는 핵심적이지만 황 교수팀 독자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만큼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며 “우선 국내 연구진들이 협력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 연구그룹은 최근 황 교수팀과 공동 연구에 합의한 영국의 이언 윌머트 박사를 비롯해 황 교수에게 공동 연구를 제안해온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난치병 관련 권위자들로 구성될 전망이다. 박 보좌관은 “외국 제약기업 등이 이번 국내 연구팀의 성과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감지됐고, 실제로 주가에서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며 “황 교수의 연구가 원천기술로 기초적 연구이지만 이를 우리나라 생명과학 발전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 | ||||
![]() |
‘황우석 교수 인터넷 보도’ 사과드립니다 한겨레신문사의 온라인 매체인 <인터넷한겨레>가 18일 밤 9시께부터 1시간여 동안, 이튿날 새벽 3시로 보도유예가 요청된 ‘황우석 교수의 치료용 줄기세포 배양 성공’ 기사를 실은 바 있습니다. 제작상의 실수였음이 발견되어 즉시 삭제하였고, 황 교수 또한 “이로 인해 <사이언스>가 불이익을 주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으나 황 교수와 독자들께 심려를 끼친 점 깊이 사과드립니다. 앞으로 관련 보도에 각별히 유의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 ![]() | ||
![]()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