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의 조중동 광고불매운동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조선>과 <동아> 기사와 사설들.
인신공격 뭇매에 색깔론도 덧씌워
“조폭논리·사회적 린치·테러범” 막말
구체 근거없이 ‘한겨레·경향’과 연계
“조폭논리·사회적 린치·테러범” 막말
구체 근거없이 ‘한겨레·경향’과 연계
언론소비자 주권 국민캠페인(언소주)의 광고불매운동에 대한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의 보도가 비판과 문제제기 수준을 넘어 극단적인 매도 양태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단체와 구성원에 대해 극언과 인식공격성 비판을 무차별적으로 쏟아냄은 물론, 색깔론까지 들씌움으로써 정당한 비판의 경계를 훌쩍 넘어서고 있다는 것이다.
동아는 15일치 ‘해외에 삼성 악선전해 경제 망치려는 협박꾼들’이라는 사설에서 ‘천방지축’ ‘망나니짓’ ‘행패’라는 단어들을 사용하며 언소주를 비난했다. 동아는 이 사설에서 언소주를 “세금도 쥐꼬리만큼 내는 사람들”이라고 깎아내렸다. 이에 대해 언소주 쪽은 대기업 간부와 공무원, 교사 등 30대 후반과 40대 초반의 회사원과 의사 등 전문직 종사자들이 단체의 핵심 활동가들이라고 반박했다. 조선은 15일치 8면에서 “시민단체, 언소주 ‘자살특공대식 불매운동’ 고발한다”는 자극적인 제목을 올렸다. <중앙일보> 역시 10일치 사설에서 언소주의 불매운동을 ‘조폭적 논리’ ‘사회적 린치’로 규정했다.
인신공격성 비난도 심각하다. 조선과 동아는 15일치 신문에서 나란히 “(언소주) 김성균 대표는 사회당 당원이며, 국가보안법 위반 경력을 갖고 있다”고 김 대표의 이력을 공개했다. 하지만 김 대표는 “사회당에 가입한 사실이 없다”며 두 신문에 정정보도를 요청했다. 조선은 10일치 8면에서 김 대표 부인의 직장까지 밝혔다. 동아도 15일치 6면 ‘가면 쓴 언소주’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언소주 주요 구성원과 활동 내용을 표까지 곁들여 소개하며 편향적 단체임을 의식적으로 강조했다.
황용석 건국대 교수는 “조·중·동이 불매운동 이슈에 대한 정당성 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속성을 물고 늘어지는 ‘개인화 프레임’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며 “이는 본질을 비켜서는 보도 태도”라고 지적했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광고주에 대한 불매운동은 조·중·동 보도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도 스스로 되돌아보지는 못할지언정 지엽적인 것을 가지고 꼬투리를 잡거나 일방적으로 단체를 매도하는 식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선과 동아는 언소주의 불매운동에 대해, 근거도 대지 않은 채 <한겨레>와 연결 짓기도 했다. 동아일보 황호택 논설실장은 15일치 30면 “‘겨레향’의 광고영업사원 ‘언소주’”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광고업계에서는 언소주의 광고주 협박 운동이 ‘겨레향’(한겨레와 경향)과 깊숙이 연결돼 있다고 본다”고 주장했으나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조선도 10일치 사설에서 “신종 테러범 언소주는 이들 언론(한겨레·경향)의 광고 판매촉진 담당 사원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라며 한겨레와 경향이 언소주와 “범죄적 공생관계”를 맺고 있다고까지 주장했다. 이에 대해, 안재승 한겨레 전략기획실장은 “우리는 언소주 활동과 일체 관계된 바 없다”며 사실관계를 파악해 언론 보도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조선과 동아는 나아가 2차 불매운동 기업으로 지목된 삼성이 한겨레에 광고를 주지 않는 것은 광고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라고 단정했다. 이에 대해 이진로 영산대 교수는 “지난해 10월 김용철 변호사의 삼성 비자금 의혹 폭로를 적극 보도한 한겨레와 경향은 이후 삼성 광고가 중단됐다”며 “삼성은 광고효과를 따져서가 아니라 광고집행을 무기로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창섭 기자 coo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