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대표 추천 4명 등 정이사 9명 승인
비리재단 대책위 “박 전대표 추천권한 없다”
비리재단 대책위 “박 전대표 추천권한 없다”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가 임시이사체제로 운영돼 온 영남대에 대해 정상화 결정을 내렸다.
사분위는 18일 전체회의를 열어 영남대 옛 재단 이사장이었던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추천한 정이사 후보 4명을 포함해 9명의 정이사 명단을 최종 확정했다. 영남대는 앞으로 새 정이사들의 취임 동의서를 받은 뒤 이사장을 선출하게 된다.
교과부 관계자는 “영남대와 마찬가지로 오랜 기간 임시이사들이 운영해 온 상지대와 조선대 등 다른 분규 사학들은 정이사 명단을 두고 학내 의견이 갈려 합의를 이루지 못했지만, 영남대는 두 차례 여론조사 등을 통해 교수협의회와 옛 재단 등 구성원 모두가 합의를 이뤘다”고 정상화 결정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교과부의 설명과 달리 이날 오후 영남대 원로 교수들과 총학생회 등으로 구성된 ‘박근혜 비리재단 영남학원 복귀 반대 대책위원회’ 소속 교수와 학생 70여명은 서울 종로구 사분위 건물 앞에서 정이사 명단 승인을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대책위 쪽은 “1988년 재단 비리에 책임을 지고 물러난 박근혜 전 대표는 정이사를 추천할 법적 권한이 없다”며 “학내 구성원들의 의견을 묻는 공청회 한 번 열지 않은 채 편파적인 여론조사로 구성원들이 모두 합의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영남대는 1980년 신군부에 의해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인 박근혜 전 대표에게 학교 운영권이 넘어갔으며, 박 전 대표는 그 뒤 1988년 재단비리가 불거져 이사진이 총사퇴할 때까지 영남학원 이사장 및 이사로 재직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