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 조례 개정 서울시민 캠페인단’ 발대식에 참여한 야4당의 서울시당 간부, 참여연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등 정당 및 시민·사회단체 인사들이 24일 오전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 앉아 이명박 대통령과 오세훈 서울시장, 강희락 경찰청장을 비판하는 행위극을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광장조례개정운동의 꽃’ 1500여 수임인들
24일 시작된 ‘서울광장 조례 개정운동’의 꽃은, 시민들의 서명을 직접 받을 ‘수임인’ 1500여명이다. 10여명의 수임인 대표와 함께 야4당의 서울시당 간부, 참여연대, 한국진보연대 등 정당 및 시민·사회단체 인사 등 30여명은 이날 오전 11시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 모여 ‘광장 조례 개정 서울시민 캠페인단’ 발대식을 가졌다. 이들은 이날부터 6개월 동안 서울 곳곳을 돌며 서울 유권자의 1%인 8만968명의 서명을 받게 된다.
서울시에 등록된 수임인들은 86살 노인부터 갓 성인이 된 19살 청년까지 다양하다. 직업도 시민단체 활동가부터 직장인, 정치인, 성직자, 학생, 주부 등으로 다채롭다. 수임인의 한 사람으로 나선 조헌정(56) 향린교회 목사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광장은 자유와 평화를 상징하는데, 우리나라의 서울광장은 억압과 폭력의 상징으로 비춰지고 있다”며 “정부가 광장에서 시민을 몰아내고 잔디를 보호한다는 게 말이 되냐”고 말했다.
또 다른 수임인 조동호(49·회사원)씨는 “수억원짜리 무대를 세우고 쇼 프로그램을 하면서 서울의 대표문화라고 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며 “시민의 자발적인 목소리를 내는 것이 역동적인 서울의 참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는 “매주 일요일에 나가는 지역 모임 회원 300여명이 서명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제17대 국회의원을 지낸 우원식 민주당 서울시당 부위원장도 평범한 수임인의 한 사람으로 나섰다. 우 전 의원은 “민주주의를 살리자는 집회를 막고 자의적 판단으로 광장을 열고 막는 것이 얼마나 창피한 일인지 서울시장과 정부는 알아야 한다”며 “시민들이 광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례개정 운동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참여연대 신미지 간사는 “아직 투표권이 없는 중·고생들과 경기도 등 다른 지역 주민들이 아쉽게 수임인이 못돼 발길을 돌려야 했다“며 “앞으로 1500여명 수임인들의 활약을 지켜봐 달라”고 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