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수익성없는 콜롬비아 광구사업 무리한 계약”
한국석유공사가 콜롬비아 석유광구 시피(CP)O2와 시피O3의 원유탐사 성공확률(발견확률)을 임의로 높여 계약함으로써 콜롬비아 정부에 3000만달러(약 377억원)나 더 많은 돈을 준 것으로 감사원 감사에서 드러났다.
감사원이 20일 공개한 석유공사 기관운영감사 결과를 보면, 이 공사 신규사업팀은 지난해 10월 현지조사를 거쳐 콜롬비아 두 광구의 원유탐사 성공확률이 ‘25%’라는 기술평가 보고서를 제출했다. 성공확률 ‘25%’를 근거로 콜롬비아가 입찰 조건으로 제시한 분배 몫(원유 생산량의 20% 이상)을 제공할 경우, 시피O2광구와 시피O3광구는 수익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원 ㄱ씨는 기술회의를 열어 “기술평가 보고서의 원유탐사 성공확률이 객관적인 근거도 없이 낮게 평가됐다”며 원유탐사 성공확률을 ‘35%’로 변경하도록 유도했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성공확률 ‘35%’를 근거로 사업성을 평가한 결과, 콜롬비아에 원유 생산량의 25%를 제공하더라도 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원은 “두 개 광구 모두 원유가 발견되어도 분배 몫을 2919만달러나 더 주게 돼 수익성 없는 광구사업을 추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ㄱ씨에 대한 징계 처분을 요구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