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 평택성폭력상담소장
‘왜곡교과서 저지 소송’ 일본 가는 김정숙 평택성폭력상담소장
일본의 역사 왜곡교과서 채택을 막기 위한 행정소송차 일본 출국을 앞둔 평택성폭력상담소 김정숙(47·사진) 소장은 22일 “한·일간의 양심적 시민 세력이 연대해 아시아 평화를 해치는 역사 왜곡 교과서를 법정에 세울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오는 31일 일본으로 건너간다. 왜곡 교과서 채택 반대운동을 주도해온 오쿠무 에쓰오 등 일본 시민단체 대표들과 공동으로 에히메현 지사와 교육위원회를 상대로 후소사 역사교과서 채택을 금지해달라는 행정소송을 에히메현 마쓰야마시 법원에 낼 예정이다. 에히메현 ‘교과서 채택’에 양국 시민단체 ‘한뜻’
평택시민 2076명 참여…“사과 이끌어내겠다” 이번 소송의 원고는 ‘다국적 연합군’으로 구성됐고 원고만 모두 3475명이다. 한국의 평택시민 2076명을 포함해 국내에서 3257명, 일본 190명, 중국 24명, 미국 4명이 참여했다. 이번 소송에 평택시민이 대거 나선 것은 지난 2004년 평택시와 일본의 에히메현 마쓰야마시가 우호교류도시 협약을 맺으면서 두 도시의 시민단체들도 ‘평택-에히메 시민단체교류회’를 결성해 연대해 온 것이 한몫했다.
2005년 6월 평택지역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마쓰야마시를 방문했고 때마침 일본의 역사교과서 채택 문제가 터지면서 현지에서 후소사판 교과서 채택을 반대하는 일본 시민운동단체들과 의기투합할 수 있었다. 김 소장은 “에히메현은 도쿄도와 함께 대표적인 보수 성향 지역으로, ‘새역모’에서 만든 후쇼사판 역사 교과서를 채택한 것도 이 두 곳이었다. 그래서 일본 시민단체들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해 그동안 함께 논의한 끝에 소송을 내게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시 0.03%에 불과했던 왜곡 교과서 채택률은 불과 5년 만인 2005년에는 0.3%로 10배 이상 높아졌고 두 나라 시민·사회단체들도 소송으로 적극 대응하기로 결정을 했다. 김 소장은 “일본 젊은이들의 정치 무관심 속에 보수우익들은 위안부를 아예 역사상 없는 존재로 치부하는 등 한·일관계를 왜곡한 역사 교과서를 확산시키려 하고 있다”며 “한·일관계를 왜곡한 역사를 배운 젊은이들이 아시아 평화를 해치는 일을 또다시 하지 말라는 법이 어디 있겠냐”고 말했다. 김 소장은 “일본이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진심 어린 사과를 할 때 한국인이나 중국인이 이를 진정으로 받아들이고 비로소 아시아 평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이번 소송은 이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평택/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사진 평택성폭력상담소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