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국민들은 방송법 등 언론관련법 강행처리에 대한 갈등의 주된 책임소재로 대통령과 한나라당 등 여권을 지목하고 있었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미디어법 처리와 관련된 갈등 책임’을 물은 결과, ‘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는 답이 71.6%로 조사돼 ‘그렇지 않다’(25.3%)는 답보다 세배 가까이 많았다. 한나라당을 지목한 응답은 80.0%로서 압도적으로 많았다. 20·30·40대의 경우, 각각 88.8%, 85.6%, 81.7%가 한나라당에 책임을 돌려, 50대(71%)와 60대 이상(66.4%)의 장년층보다 한나라당 비판 여론이 높았다. 특히 한나라당 지지층에서도 갈등의 책임자로 한나라당을 지목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나라당 지지자의 절반(51.8%)이 갈등의 책임이 한나라당에 있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답은 44.2%로 나타났다. 그러나 민주당의 책임을 지목한 이들도 적지 않았다.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6.6%가 갈등의 책임이 민주당에 있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나라당의 일방적 강행처리에 대해선 비판적인 여론이 압도적이었다. ‘야당이 반대한 가운데, 한나라당이 미디어법 처리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71.0%가 ‘잘못한 일’이라고 답했다. 특히 30대의 경우, 81.7%가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고, 20·40대 역시 각각 77.8%, 73.4%가 강행처리에 비판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60대 이상에선 ‘잘한 일’이라는 답이 40.4%로 높게 나타났다. ‘잘못한 일’이라는 60대 이상의 응답자는 49.7%였다.
재투표·대리투표 논란 등 절차상의 문제로 인한 법안 통과 무효 주장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61.5%가 ‘동의한다’고 답해, ‘동의하지 않는다’(31.0%)는 답보다 갑절 가까이 많았다. 신문사·대기업이 공중파·뉴스전문방송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한 방송법 개정안 내용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여론이 많았다. 응답자의 66.8%가 개정안에 반대한다고 답했고, 특히 30대에서 반대 의견(78.3%)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선·중앙·동아 등 대형신문사의 방송진출’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는 67.5%가 ‘찬성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특히 40대 이하의 청·장년층에서 비판적인 시각이 많았다. 20·30·40대에서 각각 79.3%, 76.0%, 71.2%의 반대의견이 나왔다. 대기업의 방송진출에 대한 여론은 더욱 나빴다. 응답자의 70.6%가 ‘찬성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특히 20·30대는 각각 80.2%, 81.5%가 압도적인 반대 의사를 밝혔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