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태·이유일 쌍용차 법정관리인이 2일 오전 경기 평택시 칠괴동 공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협상 결렬을 발표한 뒤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평택/연합뉴스
“최종안 수용안하면 대화없다”
“노조는 협상 과정에서 단 한 명의 정리해고도 수용할 수 없다는 원칙만 고수했습니다.”
쌍용차 회사 쪽이 노사 협상 결렬을 선언한 지 6시간 만인 2일 오전 10시 쌍용차 평택공장 남문 앞에서 열린 회사 쪽 긴급 기자회견에서 박영태·이유일 공동관리인은 협상 결렬 책임을 모두 노조에 돌렸다.
이유일·박영태 공동관리인은 “노조 쪽의 총고용 유지 요구를 수용하면 기업회생 절차에 중대한 차질이 발생될 것”이라며 “1600여명의 잉여인력이 발생할 뿐 아니라 강성 노조가 존재하는 기업에 누가 투자하겠냐”고 말했다. 강성 노조를 쌍용차에서 제거하는 것이 대규모 정리해고만큼이나 필요한 일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들은 또 “회생절차가 진행중인 기업에서 노조의 불법 투쟁에 의해 정리해고가 저지되면 앞으로 한국 사회에 투쟁만능주의가 득세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다른 사업장의 구조조정에도 악영향을 줘 한국 경제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이라고까지 주장했다.
협상 결렬 이후의 계획에 대해 이들은 “현 법인 청산을 전제로 회생계획안을 법원에 내겠다”며 “현재 쌍용차를 청산하고 뉴쌍용 등 새로운 법인을 설립하는 문제는 공동관리인이 아니라 법원이 해야 할 몫”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현재까지 회사가 할 수 있는 법률적 조처는 모두 취했다”며 “불법점거 파업장을 정리하는 것은 이제 공권력의 책임이고 경찰이 나서지 않으면 비해고 임직원들이 도장공장 진입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협상 대표였던 박영태 공동관리인은 회견 말미에 “노조가 도장공장 안에 남은 640명의 파업 노동자들만을 위해 협상했다는 점에 굉장히 실망했다”며 “노조가 회사안을 받아들이겠다고 하면 대화를 하겠지만 그 전에는 안 한다”고 잘라 말했다. 평택/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