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의 시민단체와 역사학자들이 역사참고서를 공동출간된 데는 2000년 일본의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의 후소샤( 교과서가 일본의 침략전쟁 역사를 크게 왜곡했기 때문이다.
새역모 교과서 출간 후 일본 내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 네트워크 21'을 중심으로 새역모 교과서 채택저지운동이 벌어졌고 한국에서는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가 이를 지지해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2002년 3월 중국 난징에서 `제1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을통해 중국의 학자들이 가세하면서 한중일 공동의 역사교재 개발에 합의해 두달 만에`한중일 공동역사교재개발 특별위원회'가 구성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같은해 8월 '제1차 서울국제회의'를 시작으로 공동 역사 교재 출간의 목적과 주제ㆍ시기선정, 제목 등에 대해 11차례의 국제회의와 수십차례의 실무회의를 거쳐 지난달 `제11차 베이징국제회의'를 끝으로 역사교재 출간의 대단원을 마무리지었다.
역사교재 출간까지 이처럼 수십 차례의 논의 과정이 필요했던 것은 한중일 역사학자들간의 각종 쟁점에 대해 논의초반 의견차이가 노출됐고 이에 따른 합의 과정이필요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한일 양국은 근ㆍ현대사 시기 구분부터 의견차를 보여 일본은 메이지유신,청일ㆍ러일전쟁 등 일본의 주요사건을 기준으로 시기를 구분하려 했으나 한국은 3국각각의 근대국가 건설과정과 일제의 침략전쟁이라는 상호관계를 함께 고려해 시기를구분하기를 주장, 일본이 결국 한국ㆍ중국의 의견을 수용했다.
용어를 두고도 다른 의견이 나와 일본과 중국은 `한국병합', 한국은 `한국강점'을 고수했으나 일본측 의견으로 통일하되, 칼럼에서 강점과 병합에 대해 불법성, 합법성과 연관시켜 설명하기로 합의했다.
의견 차이는 한국과 중국 사이에도 발생, 3ㆍ1운동이 5ㆍ4운동에 영향을 미쳤다는 한국측 주장에 대해 중국측이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을 보여 결국 "중국 지식인과 학생은 한국에서 일어난 3ㆍ1 독립운동 소식을 전하면서 중국인들에게 반일 투쟁을 호소했다"고 결론짓기도 했다.
일본 민중도 전쟁의 피해자인가를 놓고 한국과 중국측은 가해자적 측면을 강조하고 일본은 피해자 측면도 중시해야 한다고 대립, 일본 민중의 가해와 피해의 양면성을 서술하게 됐다. (서울/연합뉴스)
일본 민중도 전쟁의 피해자인가를 놓고 한국과 중국측은 가해자적 측면을 강조하고 일본은 피해자 측면도 중시해야 한다고 대립, 일본 민중의 가해와 피해의 양면성을 서술하게 됐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