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중ㆍ일 시민단체와 역사학자들이 26일 출간한 공동 역사교과서 `미래를 여는 역사'와 일본의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이 만든 교과서의 쟁점은 크게 `한국병합' '대동아 공영권' '식민정책'에서 크게 엇갈리고 있다.
새역모 교과서는 한국병합 부문에서 2001년도 교과서에 비해 왜곡을 심화, 식민지 조선에서 자신들이 벌인 경제 활동을 `근대화'라는 이름으로 미화하고 있다.
또 3ㆍ1 운동의 원인이 된 헌병경찰 통치를 폐지하면서 무력으로 억누르던 통치 방법을 바꾸었다는 것만 기술해 육군 병력 유지와 경찰 증원을 간과했고, 한국인이 창씨개명 등 일본의 지배정책에 `동조'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한중일 공동 교과서는 `일본의 한국병합과 한국인의 저항'이라는 부문에서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날 무렵 대한제국이 국외 중립을 선언한 사실과 이후 통감부 설치를 통한 한국 내정 간섭, 군대 해산, 사법권 강탈 등을 설명하고 있다.
대동아공영권에 대한 새역모 교과서의 미화에 대해서는 공동교과서가 그 실태와 환상을 꼬집고 있다. 새역모 교과서는 대동아공영권에 대해 일본어 교육, 신사 참배에 대한 현지인의 반발 등 불리한 기술은 모두 삭제하고 일본군 병사의 동남아 독립전쟁 참가기술, 자료 보강을 통해 식민지 해방전쟁의 이미지를 강화했다. 이에 대해 공동교과서는 "대동아공영권은 구미 열강을 대신하는 일본지배를 치장한 논리로 허울에 지나지 않으며 전쟁수행을 위한 자원ㆍ자재ㆍ노동력조달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식민정책에 대해서도 새역모 교과서는 황민화정책과 창씨개명의 강제성, 일본군 위안부 동원정책에 대해 반발 내용을 기술하지 않아 조선인과 중국인 모두가 전시에 자발적으로 협력한 것처럼 오해의 여지를 두고 있다. 그러나 공동교과서는 조선총독부가 각종 방법으로 창씨개명을 강요한 것과 일본 패망 때까지 약 20만명의 한국 청년이 전쟁터로 끌려간 사실, 한국여성이 일본군 위안부로 대거 동원된 사실 등이 그대로 기술돼 있다. (서울/연합뉴스)
대동아공영권에 대한 새역모 교과서의 미화에 대해서는 공동교과서가 그 실태와 환상을 꼬집고 있다. 새역모 교과서는 대동아공영권에 대해 일본어 교육, 신사 참배에 대한 현지인의 반발 등 불리한 기술은 모두 삭제하고 일본군 병사의 동남아 독립전쟁 참가기술, 자료 보강을 통해 식민지 해방전쟁의 이미지를 강화했다. 이에 대해 공동교과서는 "대동아공영권은 구미 열강을 대신하는 일본지배를 치장한 논리로 허울에 지나지 않으며 전쟁수행을 위한 자원ㆍ자재ㆍ노동력조달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식민정책에 대해서도 새역모 교과서는 황민화정책과 창씨개명의 강제성, 일본군 위안부 동원정책에 대해 반발 내용을 기술하지 않아 조선인과 중국인 모두가 전시에 자발적으로 협력한 것처럼 오해의 여지를 두고 있다. 그러나 공동교과서는 조선총독부가 각종 방법으로 창씨개명을 강요한 것과 일본 패망 때까지 약 20만명의 한국 청년이 전쟁터로 끌려간 사실, 한국여성이 일본군 위안부로 대거 동원된 사실 등이 그대로 기술돼 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