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참사가 일어난 지 200일째가 된 7일 오후, ‘용산 범국민대책위원회’ 회원들과 유족들이 서울시청 서소문 별관 앞에서 ‘용산 참사 해결’을 촉구하는 스티커를 보행자 보호기둥에 붙여 놓은 채 집회를 열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생존권 외치는 국민을 진압하는 일만 되풀이”
‘용산 참사’ 희생자 유족과 시민·사회단체들의 ‘싸움’이 200일을 맞았다. 용산참사 범국민대책위원회(용산범대위)는 7일, 참사 200일을 맞아 서울시청 별관 앞에서 ‘용산참사 해결 및 철거민 생존권 보장 대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서 유족 유영숙(48)씨는 “쌍용자동차 사태에서 특공대들이 쓰러진 노동자들을 구타하는 장면을 보고 용산 참사 당시가 떠올라 마음이 아팠다”며 “생존권을 외치는 국민을 특공대로 진압하는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대회에는 불교인권위원회,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도 참석해 용산 참사 문제를 방치하는 정부를 비판했다. 권오헌 민가협 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은 “자연재해로 국민이 죽어도 대책을 세우는 게 국가인데, 공권력 투입 과정에서 국민이 죽은 일에 사과도 없고 진상규명조차 되지 않으니 정말 잔인하다”고 말했다. 이날 저녁 8시에는 참사 현장인 서울 용산구 한강로2가 남일당 건물 앞에서 ‘용산참사 200일 추모제’가 열렸다. 추모제는 불교인권위원회, 천주교정의구현 전국사제단, 용산참사 기독교대책회의, 원불교사회개벽 교무단 등 4개 종단 11개 종교단체가 주최했으며, 고인들의 넋을 위로하는 종교의식과 추모공연이 이어졌다. 범대위는 이날 결의문에서 “용산 참사가 망각에 덮이도록 놔둘 수 없다”며 “민주주의와 인권을 염원한다면, 용산 참사의 진상을 규명해 고인들의 명예가 회복될 수 있도록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족과 용산범대위는 지난달 20일 참사 반년을 맞아 희생자 5명의 주검을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으로 옮겨 분향소를 마련하려 했으나 경찰의 원천봉쇄로 무산된 바 있다. 그 뒤 주검이 안치된 순천향대병원에서 정부를 상대로 싸움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