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철갑상어가 한강에서 잡혔다.
서울시 한강시민공원사업소는 26일 “잠실대교 인근 잠실수중보에 쳐놓은 그물에 21일 아침 7시께 길이 80㎝ 정도의 철갑상어 두 마리가 포획됐다”고 밝혔다. 한강에서 철갑상어가 잡힌 것은 2001년 12월 한강 하구인 행주대교 북단 인근에서 각각 48㎝, 56㎝짜리 두 마리가 잡힌 이후 처음이다. 이번에 잡힌 철갑상어는 두 마리 모두 생후 1년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철갑상어는 연안이나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곳에 서식하는 회귀성 어종이다. 1960년대까지는 반포 인근에서도 발견될 정도였으나 한강에 대규모 댐이 건설되고 수질이 악화한 80년대 이후에는 자취를 감췄다. 최근에는 서해안과 남해안에 가끔 출몰하지만 강에서 발견된 사례는 거의 없다.
한강시민공원사업소 관계자는 “이번에 잡힌 철갑상어가 자연산인지, 양식중이던 치어가 자라 거슬러 올라온 것인지 여부는 다음주 조사 결과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 | ||||||||||||||
![]() | 철갑상어는? 《자산어보》에 ‘총절입’이라 하였고 금린사(錦鱗鯊)라 표기하고 있다. 《재물보》에는 전어(鱣魚)·황어(黃魚)·옥판어(玉版魚) 등으로 기록하였고, 《본초강목》에는 홀어(忽魚)라 기록하고 있다. 몸은 긴 원통 모양이고 주둥이가 길며 뾰죽하다. 몸은 5개의 세로줄이 있는 판 모양의 단단한 비늘로 싸여 있다.
입은 아래쪽에 있고 수염이 4개 있다. 성어의 양쪽 턱에는 이가 없다. 각 골판줄 사이의 피부는 드러나 있다. 한국·중국·일본·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1996년 3월, 특정 야생동식물 보호어종으로 지정하였다. 출처 <두산 엔사이버> | ![]() | ||||||||||||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