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관계자 "휴일문제만 정리되면 국장 괜찮아"
고(故)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장례 절차를 결정하기 위한 정부와 유가족 측간 협의가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장례 형식과 관련해 정부는 국민장(國民葬), 유가족과 민주당은 국장(國葬)을 선호하고 있으나 국장으로 엄수하되 장례기간을 6일로 하는 절충안을 유력히 검토하고 있어 주목된다.
`국장+6일장' 절충안에 대해 김 전 대통령 측은 국장으로 거행될 경우 장례 기간 조정은 양해할 수 있다는 입장이고, 정부 내부에서도 다소 의견이 엇갈리긴 하지만 국장도 검토할 수 있다는 기류여서 성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 핵심 관계자는 19일 `국장+6일장' 방안에 대해 "국장을 치르면 영결식 당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해야 하는데 그건 양측 모두에 부담스럽지 않느냐"면서 "휴일 문제만 정리되면 국장도 괜찮다고 본다"고 말했다.
현행법은 전직 대통령의 장례는 최장 7일인 국민장뿐 아니라 9일 이내에서 국장으로도 거행할 수 있으며, 국장의 경우 영결식 당일은 임시 공휴일로 지정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김 전 대통령의 장례를 국장으로 엄수할 경우 7일간 국민장으로 거행된 노무현 전 대통령 장례와의 형평성 문제가 대두될 수 있고, 향후 서거하는 전직 대통령의 장례 형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따라 정부 내에서는 유가족 측의 요구를 받아들여 김 전 대통령의 장례를 국장으로 엄수하되 노 전 대통령 장례보다는 하루 짧은 6일간 치르는 방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6일장을 거행하면 일요일인 오는 23일 영결식이 거행되기 때문에 공휴일 지정 문제도 비켜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대해 김 전 대통령 측에서는 국민장보다 격(格)이 높은 국장으로 결정될 경우 장례 기간 단축은 수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유가족 측은 장례 형식뿐 아니라 공식 빈소 및 영결식 장소, 장의위원회 구성 방안 등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가족 측은 공식 빈소를 국회 본회의장 중앙홀에 설치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거행된 경복궁 앞뜰이나 광화문 광장, 국회 본청 앞뜰 중 한 곳에서 영결식을 거행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족 측 장의위원장으로는 국민의 정부 시절 총리급 인사 등을 대상으로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영두 기자 k0279@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에 따라 정부 내에서는 유가족 측의 요구를 받아들여 김 전 대통령의 장례를 국장으로 엄수하되 노 전 대통령 장례보다는 하루 짧은 6일간 치르는 방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6일장을 거행하면 일요일인 오는 23일 영결식이 거행되기 때문에 공휴일 지정 문제도 비켜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대해 김 전 대통령 측에서는 국민장보다 격(格)이 높은 국장으로 결정될 경우 장례 기간 단축은 수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유가족 측은 장례 형식뿐 아니라 공식 빈소 및 영결식 장소, 장의위원회 구성 방안 등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가족 측은 공식 빈소를 국회 본회의장 중앙홀에 설치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거행된 경복궁 앞뜰이나 광화문 광장, 국회 본청 앞뜰 중 한 곳에서 영결식을 거행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족 측 장의위원장으로는 국민의 정부 시절 총리급 인사 등을 대상으로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영두 기자 k0279@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