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평생 그가 외쳤던 `국민화합'을 실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그의 고향인 광주.전남은 지역 내, 영.호남 대립 등 안팎의 갈등으로 진통을 겪은 터라 이 같은 지적은 더욱 공감을 얻고 있다.
김 전 대통령의 장례기간 이런 통합의 기운은 감지됐다.
옛 전남도청 별관 철거문제로 1년 넘게 대립해온 5.18단체 회원들은 21일 국회에 차려진 김 전 대통령의 빈소를 찾아 함께 조문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인 봉하마을 주민들도 "노 전 대통령의 서거 당시 호남지역민이 보여준 관심에 보답하겠다."며 같은 날 김 전 대통령의 고향인 전남 신안군 하의도와 목포역, 5.18의 상징적 장소인 광주 옛 전남도청 분향소를 잇따라 찾았다.
봉하마을과 하의도 주민들은 "두 마을 간 교류로 영호남 화합의 디딤돌을 놓자"는 약속도 잊지 않았다.
이런 움직임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으려면 심각한 지역갈등을 없애야 한다는 전 국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해결책을 찾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광주.전남본부 장화동 집행위원장은 23일 "특정 사안에 대한 이견은 당연히 있을 수 있고 오히려 있어야 하지만 통합에 필요한 조절기능을 할 사람, 어른이 없고 지역.단체 간 이기주의를 타파할 수 있는 해결책도 보이지 않아 문제"라며 "이런 이기주의는 서로에게 도움이 되지 않고, 이미 `갈 데까지 갔다'는 인식은 확인됐으니 어려움이 있더라도 꾸준히 해결책을 찾으려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말했다.
겉으론 화합을 외치면서도 지역갈등의 수혜를 누려온 정치권의 각성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 광주.전남 추모위원장을 맡은 지선 스님은 "지역갈등이나 김 전 대통령에 의지하면서 민주당 세력들이 기득권을 누린 것도 사실"이라며 "민주당은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기득권을 포기하고, 지역갈등을 극복해 민주세력이 힘을 결집할 수 있도록 시민을 위한 정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박주선 최고위원은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3기 집권에 실패하면서 전통적인 지지자들로서는 과연 민주당을 지지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회의를 많이 느꼈을 것"이라며 "민주당도 김대중 전 대통령이 없는 상황에서 무한한 자립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만큼 지역감정 해소와 국민통합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광주=연합뉴스)
겉으론 화합을 외치면서도 지역갈등의 수혜를 누려온 정치권의 각성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 광주.전남 추모위원장을 맡은 지선 스님은 "지역갈등이나 김 전 대통령에 의지하면서 민주당 세력들이 기득권을 누린 것도 사실"이라며 "민주당은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기득권을 포기하고, 지역갈등을 극복해 민주세력이 힘을 결집할 수 있도록 시민을 위한 정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박주선 최고위원은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3기 집권에 실패하면서 전통적인 지지자들로서는 과연 민주당을 지지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회의를 많이 느꼈을 것"이라며 "민주당도 김대중 전 대통령이 없는 상황에서 무한한 자립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만큼 지역감정 해소와 국민통합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광주=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