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내년부터 사용될 중·고교의 새 교과서를 폐지가 30% 이상 섞인 재생용지로 만든다고 30일 밝혔다. 교과부는 1990년대 말부터 교과서에 재생용지를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왔으나 인체 유해성 논란 등으로 추진하지 못했다.
서성진 교과부 교과서기획과장은 “최근 실시한 정책연구 결과 유해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돼, 재생용지 교과서를 만들기로 했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학부모단체인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이 자체 실시한 검사 결과에서도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재생용지가 사용될 교과서는 2007년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내년 3월 새학기부터 공급될 중·고교용 교과서다. 초등학교 및 특수학교는 중·고교의 사용 결과를 평가해 2013학년도 이후부터 재생용지 사용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서 과장은 “초등학생들이 침을 많이 묻혀 보는 독서습관 때문에 학부모들의 우려가 커, 재생용지 사용에 대해 시간을 두고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아직 사용 연한이 남아 있는 교과서와 아트지를 사용하는 미술 교과서, 사회과부도 등은 지금처럼 일반 용지로 계속 만들기로 했다. 교과부는 재생용지 사용으로 1년간 30년생 나무 24만3380그루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