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경보체계 보강키로…실종자 3명 주검으로
정부는 7일 임진강 야영객 실종 사고와 관련해 권태신 국무총리실장 주재로 긴급 관계부처 차관 회의를 열어, 임진강 수위 조기경보 전달체계를 보강하기로 했다. 정부는 특히 임진강 유역이 군사지역인 점을 고려해 앞으로 군과 관계기관 사이 상호 통보체제 및 북쪽 댐 감시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군 초병이 북쪽의 방류 사실을 확인하면 자동 시스템에 의존하지 말고 유·무선을 통해서도 신속히 전파하도록 하는 등 다중의 안전장치를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국토해양부 장관 명의의 대북 통지문에 대한 북쪽 반응과 사고 원인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임진강 수해 방지 관련 남북회담 제의를 검토하기로 했다. 앞서 통일부는 이날 판문점 남북적십자 직통전화로 대북 통지문을 보내, 예고 없는 댐 방류로 민간인 6명이 실종된 사태에 유감을 표시하고 해명과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사고 원인과 관련해 국토해양부는 이날 “북쪽 댐(황강댐 등)의 일시 방류로 추측된다”며 “국정원 등에서 수위 상승의 원인을 분석중”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또 한국수자원공사에 내·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사고대책본부를 설치했다고 덧붙였다. 경찰은 이날 경보시스템 미작동 경위 등에 대한 전면 수사에 들어갔다. 경찰은 임진강 실종사고와 관련한 직무를 수행하는 데 책임이 있다고 판단되는 모든 기관을 대상으로 전방위 수사를 벌일 방침이다.
한편, 실종자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는 현장지휘본부는 이날 오후 서강일(40), 김대근(39), 이경주(38)씨 등 3명의 주검을 인양했다. 그러나 함께 실종된 이씨의 아들 용택(8)군과 동료 백창현(39), 이두현(40)씨는 찾아내지 못했다.
연천/김기성, 손원제 김성환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