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기·경북·충남·충북 등…상급단체 선택투표도
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와 민주공무원노조(민공노), 법원공무원노조(법원노조)가 통합해 민주노총에 가입한 가운데, 이들 노조에 가입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활동하던 일부 광역자치단체 노조가 전국 통합과 상급단체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24일 현재 전국 16개 시·도 공무원노조 가운데 상급단체를 두고 있는 곳은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전남 전북 등 7곳이다. 이들은 조합원 6만5000여명의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에 가입해 활동하고 있다. 나머지 9곳은 상급단체를 두고 있지 않은 이른바 ‘무소속’이다. 이 가운데 울산 경기 경북 충남 충북 제주 강원 등 7곳이 이달 말까지 각 노조의 대의원 투표를 통해 전국광역자치단체 공무원노동조합 결성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7곳이 하나로 통합되면 이 단체의 전체 조합원은 9800여명이 된다. 이들 7곳은 이와함께 통합 결성 뒤 민주노총과 공노총 가운데 하나를 상급단체로 선택하기 위한 조합원 총투표를 벌일 계획이다. 이들이 가입할 상급단체는 민노총보다 공노총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있지만 최종 결과는 안갯속이다.
이처럼 ‘무소속’광역단체 공무원노조들의 이런 움직임은 노조 존립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공무원노조가 여러 개의 상급단체로 나뉘어 어느 한 곳도 정부와 협상력에서 뚜렷하게 우위를 차지한 곳이 없었으나, 통합노조가 출범하면서 덩치가 작은 소규모 노조로는 협상력을 발휘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다.
박상조 울산시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은 “통합노조가 출범한 상황에서 더는 독립노조로는 제 목소리를 낼 수 없다”며 “그동안 우후죽순 활동하던 공무원노조가 민주노총과 공노총의 양대 산맥 아래 묶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