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적조연구센터(센터장 정해진 교수)는 지난해 6~7월 두 차례에 걸쳐 경남 마산 해역에서 대규모로 발생한 적조의 원인생물 가운데 한 종을 디엔에이(DNA) 분석 등을 통해 국제학계의 심사를 받은 결과, 이 생물이 새로운 종으로 승인됐다고 30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새로운 적조 원인생물을 발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이 원인생물에 대해 ‘스테커리아 엘지시다’라는 이름을 붙였다.
정해진 서울대 교수(지구환경과학부)는 “이 종은 어류의 세포를 빨아먹어 어류를 폐사시키는 피스테리아와 같은 방식으로 해양생물을 잡아먹는다”며 “하루에 3차례 번식이 가능하고 해수 1㏄당 2만 개체까지 번식이 가능해 적조를 일으키는 주범”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 종이 그동안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던 어류 폐사의 한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추가 연구를 벌이고 있다.
이호을 기자 he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