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회계감사도 도입
한국노총이 ‘임원선거제도 민주화’ 및 ‘외부감사제도 도입’ 등을 담은 ‘도덕성과 투명성 강화 방안’을 확정했다. 특히 이 안에는 한국노총 거듭나기의 최대 현안으로 꼽혔음에도, 내부의 반대로 빠졌던 선거제도 개혁안이 포함됐다. 한국노총은 30일 이용득 위원장과 지역본부 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직혁신위원회 전체회의를 열어 도덕성·민주성·투명성·자주성 등 4개 부문 10개 개혁 방안과 관련 규약·규정의 개·제정안을 채택해 1일 열리는 전국 대의원대회에 넘기기로 했다. 회의에선 ‘내부 민주화’를 위해 △위원장-사무총장 러닝메이트제를 도입하고 △선거인단도 조합원 100명 당 1명으로 확대하며 △중앙집행위원회와 상임집행위원회를 꾸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한국노총 임원 선거인단은 7천~8천명 선으로 이전의 10배 규모로 늘어나게 됐다. 총연맹 차원의 이런 선거제도 개혁은 산하 노조들에도 곧바로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한국노총의 한 관계자는 “선거제도는, ‘인적 쇄신을 막는다’는 안팎의 강한 비판에도 일부 기득권층의 반대로 ‘개혁 대상’에 끼지 못했으나, 이남순 전 위원장 구속 뒤 한국노총에 대한 사회적 비판여론이 격화되면서 지도부의 분위기가 크게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또 이날 회의에서는 △비영리 공익 법인 또는 단체에서 추천한 공인회계사 등으로 회계감사위원회를 두는 외부회계감사 방식을 도입하고 △조합원의 정보공개청구권 보장하며 △회원조합 및 지역본부에 대한 상급단체의 회계감사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투명성 강화방안도 채택됐다. 아울러 회의 참석자들은 16일 조직혁신위 첫 회의에서 밝혔던, 비리 연루자의 피선거권 제한과 총연맹 임원 재산공개 및 간부윤리강령 등 방안의 도입에도 합의해 대의원대회에 넘겼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혁신위가 애초보다 더욱 더욱 근본적인 조직혁신안을 마련한 것은 환영할만 일”이라며 “형식의 변화에 내용을 채우기 위해선 여전히 숱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양상우 기자 ysw@hani.co.kr
한국노총이 ‘임원선거제도 민주화’ 및 ‘외부감사제도 도입’ 등을 담은 ‘도덕성과 투명성 강화 방안’을 확정했다. 특히 이 안에는 한국노총 거듭나기의 최대 현안으로 꼽혔음에도, 내부의 반대로 빠졌던 선거제도 개혁안이 포함됐다. 한국노총은 30일 이용득 위원장과 지역본부 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직혁신위원회 전체회의를 열어 도덕성·민주성·투명성·자주성 등 4개 부문 10개 개혁 방안과 관련 규약·규정의 개·제정안을 채택해 1일 열리는 전국 대의원대회에 넘기기로 했다. 회의에선 ‘내부 민주화’를 위해 △위원장-사무총장 러닝메이트제를 도입하고 △선거인단도 조합원 100명 당 1명으로 확대하며 △중앙집행위원회와 상임집행위원회를 꾸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한국노총 임원 선거인단은 7천~8천명 선으로 이전의 10배 규모로 늘어나게 됐다. 총연맹 차원의 이런 선거제도 개혁은 산하 노조들에도 곧바로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한국노총의 한 관계자는 “선거제도는, ‘인적 쇄신을 막는다’는 안팎의 강한 비판에도 일부 기득권층의 반대로 ‘개혁 대상’에 끼지 못했으나, 이남순 전 위원장 구속 뒤 한국노총에 대한 사회적 비판여론이 격화되면서 지도부의 분위기가 크게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또 이날 회의에서는 △비영리 공익 법인 또는 단체에서 추천한 공인회계사 등으로 회계감사위원회를 두는 외부회계감사 방식을 도입하고 △조합원의 정보공개청구권 보장하며 △회원조합 및 지역본부에 대한 상급단체의 회계감사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투명성 강화방안도 채택됐다. 아울러 회의 참석자들은 16일 조직혁신위 첫 회의에서 밝혔던, 비리 연루자의 피선거권 제한과 총연맹 임원 재산공개 및 간부윤리강령 등 방안의 도입에도 합의해 대의원대회에 넘겼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혁신위가 애초보다 더욱 더욱 근본적인 조직혁신안을 마련한 것은 환영할만 일”이라며 “형식의 변화에 내용을 채우기 위해선 여전히 숱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양상우 기자 y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