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 유지’ 약속 지키고
만약 변경 필요하다면
이대통령 직접 나서야
만약 변경 필요하다면
이대통령 직접 나서야
정부와 여당의 ‘세종시 변경론’에 한나라당 친박계 의원들이 들끓고 있다. ‘비겁한 꼼수’라는 원색적 비판도 나온다.
친박계의 한 핵심 인사는 15일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정부와 여권 인사들이 비겁하게 개인 의견을 빌어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며 “이런 비겁한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꼼수”라고 말했다. 그는 “세종시는 대선 당시 지역균형발전과 수도권 집중 완화라는 명분으로 공당인 한나라당과 이명박 대통령이 수차례에 걸쳐 국민과 직접 약속한 사항”이라며 “변경이 필요하면 당사자인 한나라당과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 책임 있는 안을 내고 국민의 동의를 얻은 뒤 변경을 언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혜훈 의원은 “지난번 국회 표결 때 세종시법에 반대했다”며 “하지만 국회에서 다수에 의해 법안이 통과됐고 이미 여러 절차가 진행된 상황에서 이를 변경하려 한다면 행정수도 건설에 따른 비효율보다 국가적 약속을 지키지 않아 생기는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전 대표는 그동안 세종시 문제에 대해 “국민과의 약속은 지켜져야 한다”는 주장을 고수해왔다. 현재 국회 계류중인 세종특별자치시설치법을 원안대로 통과시켜야 한다는 입장인 것이다.
야권이 세종시 변경을 강력히 반대하는 상황에서 정부와 여당이 특별법 개정을 통해 세종시 변경을 추진하려면 ‘친박근혜계’의 찬반 여부가 최대 변수다. 대략 6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분류되는 친박계가 반대할 경우 한나라당은 특별법 개정을 추진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와 친박계 의원들로선 이런 상황이 달가울 리 없다. 지난 7월 언론관계법 처리 당시처럼 박근혜 전 대표가 덤터기를 쓰는 상황이 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권이 특별법을 개정해 세종시 변경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에 친박계 의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도 이 때문으로 보인다. 세종시 문제가 상황에 따라선 여권 내부 갈등의 뇌관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