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도시가 건설되면 수도권에서 170만명의 인구가 충청·영남·호남 지방으로 이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행정도시 예정지인 연기군 금강과 대평리, 장남평야 일대의 모습.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되짚어본 ‘행정도시’] ‘균형발전’ 파급효과
수도권 생산 9조4천억원 감소하지만
땅값 1.5% 집값 1% ↓ 부동산 안정
인구는 수도권 170만명 줄어들고
영남 72만명 호남 34만명 충청 65만명↑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의 ‘원안’ 고수 발언을 계기로 행정도시 문제에 다시 눈길이 쏠리고 있다. 행정도시는 노무현 정부 때 지역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 해소를 위해 탄생한 정책이다. 2030년까지 중앙부처 등 53개 국가기관을 세종시로 옮김으로써 180개 공공기관을 세종시를 포함한 전국 10곳으로 옮기는 혁신도시 건설을 선도한다. 이명박 정부와 여당의 주장과 달리 중앙행정뿐만 아니라, 첨단지식기반, 의료·복지, 대학·연구, 문화·국제교류, 교육기관, 도시행정 등 기능이 모두 계획돼 있다. 행정도시는 충남 연기군을 중심으로 공주시 일부에 걸쳐 있으며, 대전과 청주에서 10㎞ 거리다. 동쪽으로는 경부고속철도와 경부철도, 경부고속도로가 지나고, 서쪽으로 논산~천안, 대전~당진 고속도로가 놓여 있다. 청주공항과는 24㎞ 떨어진 거리에 있다.
부지는 73.1㎢(2212만평)인데, 중앙행정기관이 차지하는 면적은 40만㎡(12만평)이고, 공공청사와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각각 44만㎡(13만평), 14만㎡(4만평)을 사용한다. 도시의 쾌적성을 위해 전체의 55%인 4천만㎡를 공원과 하천 공간으로 남겨뒀다. 건설비용은 정부가 총 8조5천억원,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가 14조원을 부담한다. 민간 투자는 23조원 가량 예상하고 있다. 노무현 정부의 계획은 2030년까지 이 곳을 인구 50만 수준의 자족도시로 조성한다는 것이었다. 인구밀도로 보면 1㏊당 300~350명으로, 이는 614.8명인 분당의 절반 수준이다. 이전하는 정부 기관은 9부2처2청 등 13개 중앙부처와 ‘행정도시특별법’에 따라 이전하는 23개, ‘혁신도시특별법’에 따라 이전하는 17개 등 모두 53개다. 13개 부처는 기획재정부, 교육과학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노동부, 국토해양부, 법제처와 국가보훈처, 국세청과 소방방재청이다. 서울에는 통일·외교·국방·행안·법무·여성 등 6개 부처가 남는다. 이 기관들이 옮김에 따라 이전하는 공무원은 1만2천여명에 달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인원은 3명이므로 최소 3~4만명이 이전할 것으로 보인다. 또 교육·의료·문화·상업 등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구 유입을 감안하면 사업 초기에 최소 10만명에 가까운 인구가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행정도시청은 2015년까지 15만명을 끌어들이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으며, 50만명이 입주하는 것은 2030년까지로 돼 있다. 안성호 대전대 교수(행정학)는 “일부에서는 자족성을 이유로 들어 2030년까지 인구 50만명의 도시 건설이 어렵다고 하지만 자족기능이라는 것은 인구가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생기기 마련”이라며 “중앙부처를 옮기면 그에 따른 주거·교육·의료·상업·문화 등 기능이 따라와 인구는 급속히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황희연 충북대 교수(도시공학과)도 “행정기능과 인구가 이전하면 이와 관련된 여러 산업이 따라가게 된다”며 “2030년까지 인구 50만의 자족도시로 성장하는 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도권 인구집중 추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