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택시요금 인상…손님ㆍ기사 모두 불만

등록 2005-06-01 16:33수정 2005-06-01 16:33

공공요금 인상까지 `설상가상'…`사는 게 전쟁' 실감

"손님도 싫어하고 우리도 싫고…" 서울시내 택시요금이 평균 17.52% 오른 첫 날인 1일 아침 출근길은 대폭 인상된택시요금이 `무서운' 시민들이 택시를 외면한 가운데 택시 운전사의 한숨도 깊어졌다.

서울시가 택시운전사의 처우개선과 서비스를 개선한다는 취지에서 3년9개월만에택시요금을 이날부터 올렸지만 가뜩이나 주머니 사정이 어려운 서민 입장에선 택시를 선뜻 잡아탈 수 없는 탓에 인상 첫 날 승객이 뚝 떨어졌기 때문이다.

서민들은 택시요금에 이어 공공요금까지 줄줄이 인상된다는 소식에 주름살만 늘어간다며 푸념을 늘어놓고 있다.

◆택시운전사도 `불만'= 이날 아침 택시에는 미터기가 채 준비되지 않아 운전사들이 요율 변환표를 걸어놓은 채 이를 보고 택시요금을 손님에게 받았고 택시요금이오른 줄 몰랐던 승객들과 승강이를 벌이는 장면도 간간이 눈에 띄었다.

영업택시 운전사 최진호(44)씨는 "택시요금이 많이 올라 승객이 인상 전의 절반정도밖에 안될 것 같아 걱정"이라며 "사납금이 결국 오를 것이기 때문에 택시운전사들에겐 사실 이익이 돌아오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최씨는 "택시운전사 대부분이 요금인상을 반대했는데 서울시가 사용자 주장만고려해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택시요금만 올려놓은 게 아니냐"고 서울시를 겨냥했다.

개인택시 운전사 김정수(61)씨는 "택시 타려고 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고 게다가요금이 오르니 장거리는 타려는 사람이 더 없다.


한두 달은 고생을 좀 해야될 것 같다"며 인상을 찌푸렸다.

김씨는 요금이 올라 돈을 더 벌기보다 예전만큼 집에 돈을 가져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중형택시의 기본요금이 1천600원에서 1천900원으로 오르자 일부 승객은 2천원을내고 거스름돈 100원을 아예 받지 않고 내리기도 했다.

택시회사 측 역시 요금인상으로 승객이 줄어드는 것을 우려했지만 택시운전사가회사에 의무적으로 내야하는 사납금 인상을 놓고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민주노총 소속의 택시회사의 운전사들은 "3년9개월만에 요금이 오르니 사납금도오를 게 뻔하다"며 요금 인상에 반대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택시회사는 "요금 인상분은 모두 운전사의 처우개선에 쓸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무서워서 택시 타겠나"= 시민들 역시 대폭 오른 택시요금이 부담스러운 모습이었다.

평소 택시를 타고 출근하던 직장인들은 지하철이나 버스로 출근하는가 하면택시를 타는 거리를 최소화하려고 머리를 짜내기도 했다.

택시 승객이 줄어들자 지하철역 주변에서 단거리를 왕복하는 속칭 `다람쥐 택시'의 줄도 그만큼 길어졌다.

강동구 명일동에서 여의도까지 택시를 타고 출근하는 회사원 조여진(27ㆍ여)씨는 "어제까지 1만5천원 정도 요금이 나왔는데 따져보니 1만8천원이 넘을 것 같아 지하철로 마포구청역까지 가서 택시로 갈아타고 여의도로 왔다"고 말했다.

시민들에겐 최근 휘발유 값이 ℓ당 1천400원 아래로 좀처럼 내려가지 않는 고유가 시대에 대폭 오른 택시요금이 달가울 리 없다.

대학로에서 광화문 회사까지 출근한다는 회사원 이진영(27ㆍ여)씨는 "집에서 3천원 이하 거리여서 택시로 출근하는데 오늘은 3천500원이나 나왔다.

경제도 안 좋은데 택시요금을 올려 이젠 버스를 타고 다녀야 할 형편"이라며 짜증을 냈다.

송파구에 사는 자영업자 서원교(40)씨는 "휘발유 값도 비싸고 공공요금도 오른다고 하는데 택시요금까지 올라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걱정만 쌓인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차라리 1만5천원이면 서울 시내 전역을 갈 수 있는 대리운전을 맡기는 게 낫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나오는 형편이다.

◆공공요금까지 올라 `설상가상'= 택시요금을 `신호탄'으로 일부 지방의 상하수도ㆍ전기ㆍLPG(액화석유가스) 요금에 담뱃값까지 오른다는 소식에 서민들은 시름만깊어지고 있다.

주부 안선현(29)씨는 "서민이 체감하는 경기는 아직도 `겨울'인데 각종 요금만오른다고 하니 한숨만 나온다"며 "서민들은 죽을 맛인데 요즘 터지고 있는 공공기관의 수십억대 의혹사건을 보면 더 화가 난다"고 말했다.

회사원 이재남(34)씨는 "담배도 줄이고 더 걸어다니고 덜 쓰는 수밖에 없는 것같다"며 "월급은 빤한데 사교육비까지 좀처럼 줄 기미가 보이지 않아 요즘 같아선 `사는 게 전쟁'이란 말을 뼈저리게 느낀다"고 털어놨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