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 인상까지 `설상가상'…`사는 게 전쟁' 실감
"손님도 싫어하고 우리도 싫고…" 서울시내 택시요금이 평균 17.52% 오른 첫 날인 1일 아침 출근길은 대폭 인상된택시요금이 `무서운' 시민들이 택시를 외면한 가운데 택시 운전사의 한숨도 깊어졌다.
서울시가 택시운전사의 처우개선과 서비스를 개선한다는 취지에서 3년9개월만에택시요금을 이날부터 올렸지만 가뜩이나 주머니 사정이 어려운 서민 입장에선 택시를 선뜻 잡아탈 수 없는 탓에 인상 첫 날 승객이 뚝 떨어졌기 때문이다.
서민들은 택시요금에 이어 공공요금까지 줄줄이 인상된다는 소식에 주름살만 늘어간다며 푸념을 늘어놓고 있다.
◆택시운전사도 `불만'= 이날 아침 택시에는 미터기가 채 준비되지 않아 운전사들이 요율 변환표를 걸어놓은 채 이를 보고 택시요금을 손님에게 받았고 택시요금이오른 줄 몰랐던 승객들과 승강이를 벌이는 장면도 간간이 눈에 띄었다.
영업택시 운전사 최진호(44)씨는 "택시요금이 많이 올라 승객이 인상 전의 절반정도밖에 안될 것 같아 걱정"이라며 "사납금이 결국 오를 것이기 때문에 택시운전사들에겐 사실 이익이 돌아오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최씨는 "택시운전사 대부분이 요금인상을 반대했는데 서울시가 사용자 주장만고려해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택시요금만 올려놓은 게 아니냐"고 서울시를 겨냥했다.
개인택시 운전사 김정수(61)씨는 "택시 타려고 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고 게다가요금이 오르니 장거리는 타려는 사람이 더 없다.
한두 달은 고생을 좀 해야될 것 같다"며 인상을 찌푸렸다. 김씨는 요금이 올라 돈을 더 벌기보다 예전만큼 집에 돈을 가져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중형택시의 기본요금이 1천600원에서 1천900원으로 오르자 일부 승객은 2천원을내고 거스름돈 100원을 아예 받지 않고 내리기도 했다. 택시회사 측 역시 요금인상으로 승객이 줄어드는 것을 우려했지만 택시운전사가회사에 의무적으로 내야하는 사납금 인상을 놓고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민주노총 소속의 택시회사의 운전사들은 "3년9개월만에 요금이 오르니 사납금도오를 게 뻔하다"며 요금 인상에 반대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택시회사는 "요금 인상분은 모두 운전사의 처우개선에 쓸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무서워서 택시 타겠나"= 시민들 역시 대폭 오른 택시요금이 부담스러운 모습이었다. 평소 택시를 타고 출근하던 직장인들은 지하철이나 버스로 출근하는가 하면택시를 타는 거리를 최소화하려고 머리를 짜내기도 했다. 택시 승객이 줄어들자 지하철역 주변에서 단거리를 왕복하는 속칭 `다람쥐 택시'의 줄도 그만큼 길어졌다. 강동구 명일동에서 여의도까지 택시를 타고 출근하는 회사원 조여진(27ㆍ여)씨는 "어제까지 1만5천원 정도 요금이 나왔는데 따져보니 1만8천원이 넘을 것 같아 지하철로 마포구청역까지 가서 택시로 갈아타고 여의도로 왔다"고 말했다. 시민들에겐 최근 휘발유 값이 ℓ당 1천400원 아래로 좀처럼 내려가지 않는 고유가 시대에 대폭 오른 택시요금이 달가울 리 없다. 대학로에서 광화문 회사까지 출근한다는 회사원 이진영(27ㆍ여)씨는 "집에서 3천원 이하 거리여서 택시로 출근하는데 오늘은 3천500원이나 나왔다. 경제도 안 좋은데 택시요금을 올려 이젠 버스를 타고 다녀야 할 형편"이라며 짜증을 냈다. 송파구에 사는 자영업자 서원교(40)씨는 "휘발유 값도 비싸고 공공요금도 오른다고 하는데 택시요금까지 올라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걱정만 쌓인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차라리 1만5천원이면 서울 시내 전역을 갈 수 있는 대리운전을 맡기는 게 낫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나오는 형편이다. ◆공공요금까지 올라 `설상가상'= 택시요금을 `신호탄'으로 일부 지방의 상하수도ㆍ전기ㆍLPG(액화석유가스) 요금에 담뱃값까지 오른다는 소식에 서민들은 시름만깊어지고 있다. 주부 안선현(29)씨는 "서민이 체감하는 경기는 아직도 `겨울'인데 각종 요금만오른다고 하니 한숨만 나온다"며 "서민들은 죽을 맛인데 요즘 터지고 있는 공공기관의 수십억대 의혹사건을 보면 더 화가 난다"고 말했다. 회사원 이재남(34)씨는 "담배도 줄이고 더 걸어다니고 덜 쓰는 수밖에 없는 것같다"며 "월급은 빤한데 사교육비까지 좀처럼 줄 기미가 보이지 않아 요즘 같아선 `사는 게 전쟁'이란 말을 뼈저리게 느낀다"고 털어놨다. (서울=연합뉴스)
한두 달은 고생을 좀 해야될 것 같다"며 인상을 찌푸렸다. 김씨는 요금이 올라 돈을 더 벌기보다 예전만큼 집에 돈을 가져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중형택시의 기본요금이 1천600원에서 1천900원으로 오르자 일부 승객은 2천원을내고 거스름돈 100원을 아예 받지 않고 내리기도 했다. 택시회사 측 역시 요금인상으로 승객이 줄어드는 것을 우려했지만 택시운전사가회사에 의무적으로 내야하는 사납금 인상을 놓고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민주노총 소속의 택시회사의 운전사들은 "3년9개월만에 요금이 오르니 사납금도오를 게 뻔하다"며 요금 인상에 반대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택시회사는 "요금 인상분은 모두 운전사의 처우개선에 쓸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무서워서 택시 타겠나"= 시민들 역시 대폭 오른 택시요금이 부담스러운 모습이었다. 평소 택시를 타고 출근하던 직장인들은 지하철이나 버스로 출근하는가 하면택시를 타는 거리를 최소화하려고 머리를 짜내기도 했다. 택시 승객이 줄어들자 지하철역 주변에서 단거리를 왕복하는 속칭 `다람쥐 택시'의 줄도 그만큼 길어졌다. 강동구 명일동에서 여의도까지 택시를 타고 출근하는 회사원 조여진(27ㆍ여)씨는 "어제까지 1만5천원 정도 요금이 나왔는데 따져보니 1만8천원이 넘을 것 같아 지하철로 마포구청역까지 가서 택시로 갈아타고 여의도로 왔다"고 말했다. 시민들에겐 최근 휘발유 값이 ℓ당 1천400원 아래로 좀처럼 내려가지 않는 고유가 시대에 대폭 오른 택시요금이 달가울 리 없다. 대학로에서 광화문 회사까지 출근한다는 회사원 이진영(27ㆍ여)씨는 "집에서 3천원 이하 거리여서 택시로 출근하는데 오늘은 3천500원이나 나왔다. 경제도 안 좋은데 택시요금을 올려 이젠 버스를 타고 다녀야 할 형편"이라며 짜증을 냈다. 송파구에 사는 자영업자 서원교(40)씨는 "휘발유 값도 비싸고 공공요금도 오른다고 하는데 택시요금까지 올라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걱정만 쌓인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차라리 1만5천원이면 서울 시내 전역을 갈 수 있는 대리운전을 맡기는 게 낫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나오는 형편이다. ◆공공요금까지 올라 `설상가상'= 택시요금을 `신호탄'으로 일부 지방의 상하수도ㆍ전기ㆍLPG(액화석유가스) 요금에 담뱃값까지 오른다는 소식에 서민들은 시름만깊어지고 있다. 주부 안선현(29)씨는 "서민이 체감하는 경기는 아직도 `겨울'인데 각종 요금만오른다고 하니 한숨만 나온다"며 "서민들은 죽을 맛인데 요즘 터지고 있는 공공기관의 수십억대 의혹사건을 보면 더 화가 난다"고 말했다. 회사원 이재남(34)씨는 "담배도 줄이고 더 걸어다니고 덜 쓰는 수밖에 없는 것같다"며 "월급은 빤한데 사교육비까지 좀처럼 줄 기미가 보이지 않아 요즘 같아선 `사는 게 전쟁'이란 말을 뼈저리게 느낀다"고 털어놨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