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올8월 근로형태 조사
작년보다 30만9000명 ↑
여성·고령층 급증세 주도
작년보다 30만9000명 ↑
여성·고령층 급증세 주도
지난 8월 기준 비정규직 노동자 수가 1년 전보다 30만9000명 늘어, 2년반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정부의 재정지출을 통한 한시적 일자리 위주 고용대책이 비정규직 증가를 이끈데다, 경기침체 여파로 나쁜 일자리로 밀려난 이들이 많아진 탓이다. 비정규직의 평균임금은 7.3%나 감소했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9년 8월 근로형태별 및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8월 비정규직 노동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30만9000명(5.7%) 늘어난 575만40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노동자는 1072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6만6000명(0.6%) 증가하는 데 그쳤다. 비정규직 규모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2007년 3월 이후 처음이다. 임금노동자 가운데 비정규직 비중도 34.9%로 1년 전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정인숙 통계청 고용통계팀장은 “희망근로 프로젝트와 청년인턴 등 정부가 주도적으로 창출한 단기 일자리가 늘면서 비정규직 규모가 증가했다”며 “기업들이 경기회복 시기를 관망하면서 정규직 채용을 보류하고 비정규직을 더 많이 고용하는 경향도 반영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정부는 고용대책으로 단기 일자리 40만개를 만들었다.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여성과 중·고령층의 비정규직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전체 비정규직의 임금 수준도 떨어졌다. 비정규직의 월평균(6~8월) 임금은 120만2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9만4000원(7.3%)이나 감소했다.
비정규직법 개정과 관련해, 정부가 제기한 ‘대량해고 우려’는 이번 통계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비정규직법 적용 대상인 2년 넘게 일한 한시적 근로자는 지난해 8월에 견줘 12만6000명(15.8%) 줄었다. 이는 지난해 8월 1년 전보다 14만6000명 줄었던 것과 비슷한 수치이며, 정규직으로 전환되거나 다른 일자리로 옮긴 사람도 포함돼 있다.
한편, 8월의 ‘비임금 노동자’ 수는 714만1000명으로 1년 만에 37만3000명이 줄었다. 이는 영세자영업자들이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맞아 줄줄이 문을 닫은 결과다.
황보연 남종영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