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공사 유전사업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 홍만표)는 1일 김세호(52·구속) 전 건설교통부 차관이 사할린 유전인수 계약이 파기된 후 신광순(54·구속) 전 사장 등 철도공사 임원들과 함께 계약금 손실 보전 대책을 논의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들은 철도공사 직원들의 복리후생 지원금을 전용하는 방안을 검토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검찰 관계자는 “올 1월께 김 전 차관이 신 전 사장과 왕영용(52·구속) 본부장 등 철도공사 임원들을 만나 유전인수 계약금(620만달러, 65억여원) 보전 대책을 논의하면서, 주거래은행이 직원 복리후생을 위해 내는 기부금을 전용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삼성카드와 롯데관광 등이 낸 철도재단 출연금으로 손실을 충당하는 방안도 논의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철도공사 주거래은행인 우리은행은 직원 복리후생시설 건립 등을 위한 기부금으로 매년 70억원씩 철도공사에 지원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난 2003년 11월 체결한 주거래은행 약정에 따라 2004년부터 기부금을 내고 있다”며 “이는 주거래은행 선정 때 철도공사가 내건 경쟁입찰 조건이며, 다른 공기업들도 대부분 그런 조건을 내건다”고 밝혔다.
검찰은 신 전 사장 등이 김 전 차관의 차관 승진을 축하하기 위해 모인 자리에서 이런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이번 사건의 중간 수사 결과를 2일 발표할 예정이다.
이춘재 김태규 기자 cj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