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혁신도시 ‘불안한 첫삽’ 중부 신도시(충북혁신도시) 집단이주마을 기공식이 24일 오전 충북 음성군 맹동면 두성리에서 열려 참석자들이 테이프를 자르고 있다. 이곳은 중부 신도시로 터전을 잃는 두성리 주민 36가구 단독주택과 마을 회관 등 공동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며, 중부 신도시는 진천군과 음성군 일대 부지 690만㎡에 조성되며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등 공공기관 11곳이 이전할 계획이다. 음성/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충청권과 ‘세종시 공조’
12월 전국 동시집회
12월 전국 동시집회
전국 혁신도시(10곳) 주민대책위원회의 연합모임인 전국 혁신도시 주민대책연합회는 24일 낮 충북 음성에서 비상 대책회의를 연 뒤 “정부의 세종시 수정 추진에 대한 반대 운동에 동참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이달 안에 대전에서 비상회의를 다시 열어 투쟁 일정을 확정할 계획이다. 혁신도시 연합회는 다음달 2~4일께 세종시를 찾아가 행복도시 무산저지 충청권 비상대책위원회와 함께 행정도시·혁신도시 정상추진 촉구 공동성명을 내기로 했다. 이어 이들은 다음달 중순께 전국 혁신도시 예정지역에서 동시 집회를 열 예정이다.
이들은 지난달 28일 국토해양부가 밝힌 혁신도시 공공기관 157곳 지방 이전 계획 승인, 이전 기관 땅 매입·청사 설계 착수가 올해 안에 이뤄지지 않으면 연말께 청와대, 국토해양부 등을 찾아 대규모 집회를 열기로 했다. 박경석(46)정책실장은 “세종시 원안이 흐트러지면 혁신도시를 포함한 지역 균형발전 정책이 함께 무너질 수 있어 힘을 보태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23일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에 보고한 자료에서 ‘공공기관 지방이전(혁신도시 건설)은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행정도시를 하루아침에 백지화하려는 정부의 행동을 보면서 예정지 주민들은 혁신도시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2007년 9월부터 기공된 혁신도시 사업은 2012년까지 수도권에 있는 157개 공공기관들을 지방으로 옮겨 건설하는 것이다. 그러나 혁신도시 사업의 진척도는 아주 낮은 수준이다. 이전이 승인된 117개 기관 중 현재 농수산물유통공사 등 8개 기관만 새 건물 터를 매입했고, 16개 기관은 올해 안에 터를 매입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있다. 기존 건물을 매각한 곳은 한 곳도 없다.
공정률도 지난달 말까지 가장 낮은 충북은 0.5%이며, 가장 높은 제주 지역의 공정률도 35.4% 지나지 않는다. 청사 설계도 한국도로공사, 국토해양개발원 등 12개관만 청사 설계에 들어갔고, 가스공사, 전력공사 등 23개 기관은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거나 설계공모 중이다. 각각 전주와 진주로 이전할 예정이던 토지공사와 주택공사가 통합된 토지주택공사는 어디로 이전할지 아직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청주/오윤주 기자, 허종식 선임기자 sting@hani.co.kr
혁신도시 지역별 이전 공공기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