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 논란 확산]
과학기술단체들 토론회
세종시 관련 성명 발표
과학기술단체들 토론회
세종시 관련 성명 발표
이명박 대통령의 기초과학·연구 육성 공약으로 추진돼 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가 세종시 수정안의 핵심 내용으로 거론되면서, 과학정책이 정치 논란의 한복판에 빠져드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과학기술계에서 커지고 있다.
국내 12개 과학기술 단체들은 25일 서울 역삼동 과학기술회관에서 ‘과학벨트와 세종시’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어 “과학벨트의 정치적 이용을 우려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엔 최대 규모인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를 비롯해 과학기술한림원, 공학한림원, 자연대학장협의회, 공대학장협의회,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등 대표적 단체들이 참여해 ‘우려’가 얼마나 폭넓은지 보여주었다.
단체들은 성명에서 “과학벨트가 여야의 정치 쟁점이 되면 본래의 목적과 취지에서 멀어져 왜곡된 결정이 내려질 수 있으며 자칫 정권에 따라 그 역할과 위상이 좌우될 수 있다”는 견해를 정치권과 정부를 향해 전했다. 이날 성명은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찬반은 밝히지 않은 채 과학벨트 사업이 당리당략이 아니라 과학기술계의 의견을 존중해 추진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과학정책이 정치 이해관계에 끌려가는 데 대한 과학기술계의 거부감과, 정치 논란과 연계되면 사업 자체가 졸속이 되거나 흐지부지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토론회에서 이규호 화학연구원 박사는 “수도권 과밀·집중화를 해소하기 위해 세종시는 행정도시의 역할을 계속해야 하며, 행정도시와 주변을 연계해 과학벨트를 구축할 때 큰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영백 한국물리학회장은 “과학벨트가 기초과학 육성과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인 만큼 가장 비정치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과학기술자들이 영문도 모르는 채 뒤처리나 감당해야 하는 게 아닌지 자괴감마저 든다”고 말했다. 반면, 전영기 <중앙선데이> 편집국장은 “과학벨트가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게 아니라 세종시가 (노무현 정부 때) 정치적으로 이용됐다”고 주장했다.
토론회에 참석하지 않은 서강대의 한 교수는 “과학벨트가 한 정당의 대통령 후보 경선 공약으로 제시된 순간부터 정치적 사업이 됐다”며 “이젠 정치의 들러리가 된 꼴”이라고 비판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