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지켜보겠다” 유보일부에선 “기회” 기대도
기초과학·연구 육성 정책으로 추진돼 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의 세종시 유치를 정부가 30일 공식 검토하기로 한 데 대해, 과학기술계는 우려와 함께 ‘지켜보겠다’는 유보적 반응을 나타냈다.
지난 25일 과학기술 12개 단체들은 ‘과학벨트의 정치적 이용을 우려한다’는 공동성명을 내어, 정부와 정치권의 일방 결정에 과학기술계가 끌려가는 데 대해 거부감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과학벨트의 세종시 입지 자체를 우려하는 게 아니라 정치 논란에 휘말려 과학벨트 사업이 흐지부지될지 모른다는 우려라는 점에서, 정부의 추진 과정에 과학기술계가 반발까지 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공동성명에 참여한 한 단체 회장은 “과학벨트가 어디에 들어서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과학기술계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데 대한 우려”라고 말했으며, 다른 단체장은 “당장 후속 행동은 없으며 더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과학기술계의 민심은 훨씬 더 복잡하다. 일부에선 정부가 과학을 어떻게 대하느냐를 보여주는 ‘엠비 과학정책’의 잣대로 보면서 “과학이 정치의 들러리가 됐다”며 비판하고 있으며, 일부에선 “기초과학 목적에 맞게 과학자들이 논의 과정에 깊게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일부에선 “지지부진하던 과학벨트가 오히려 더 빨리 큰 규모로 추진될 수 있는 기회”라는 기대도 있다.
과학벨트가 도시 자족에 크게 기여하리라는 기대엔 회의적 반응이 많다. 대덕단지의 한 연구원은 “30년 된 대덕특구의 현실로 볼 때 과학벨트가 자족기능에 얼마나 기여할지 솔직히 회의적”이라고 말했다. 또 과학벨트 안의 실험장치인 중이온가속기에 국내외 과학자들이 몰릴 것으로 기대하지만, 지난 공청회들에선 가속기의 실수요층이 얼마나 될지 논란거리였을 정도로 불투명한 상태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