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식 지원 끊겨 평양 공장 ‘직격탄’
민간 대북 협력사업도 8달째 중단
민간 대북 협력사업도 8달째 중단
평양 낙랑구 삼일포에는 하루에 1~3살배기 아이 5000여명이 먹을 수 있는 이유식 공장이 있다. 이 공장은 자연재해와 경제 봉쇄로 끼니를 거르거나 영양상태가 좋지 못한 북쪽의 어린아이들을 먹이기 위해 남과 북이 함께 지었다. 2805㎡의 공장 터는 북에서 내놨고 공장 건물과 생산 설비는 남에서 제공했다. 남에서 부담한 9억7000만원은 통일부와 사단법인 남북나눔공동체, 울산시가 함께 마련했다.
이 공장은 지난해 2월 완공됐고, 4월 시험 가동을 거쳐 이유식을 본격 생산했다. 먹거리의 어려움을 겪어온 북의 아이들은 물론 부모들도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지난해 6월 남북나눔공동체는 이유식 재료 20t을 북으로 보내기도 했다. 공장 시설은 만들었지만, 이유식을 생산할 음식 재료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남북나눔공동체는 올해도 이 공장에 유아식 재료를 보내자고 울산시에 지원을 요청했고, 시도 지난해 12월 1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하지만 시는 얼마 전 추가경정 예산을 편성하면서 이 예산을 전액 삭감해 버렸다. 울산시 관계자는 “올해 4~5월께 통일부에서 ‘당분간 대북 교류를 자제해 달라’고 통보했고, 6월엔 16개 시도 실무자들이 ‘인도적 차원의 대북 접촉을 허용해 달라’고 건의하자, ‘남북관계가 개선될 때까지 기다려 달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또 이 관계자는 “통일부의 지침 때문에 예산을 삭감한 것이며, 남북관계가 풀리면 예산을 다시 편성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종주 통일부 부대변인은 “올해 4~5월 북의 핵실험과 로켓 발사로 남북관계가 경색됐을 때 안전이 우려돼 방북을 일시 규제했으나, 7월부터 다시 선별적으로 허용하고 있다”며 “우선순위에서 밀려났을 수는 있으나 인도적 차원의 활동을 제한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월드비전,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등 17개 대북 지원 민간단체 대표와 전문가들은 10일 서울 중구 정동의 한 음식점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그동안 진행하던 협력사업을 위한 자재 설비 등의 반출이 지난 4월 이래 여덟달째 중단돼 “북한의 해당 협동농장과 사업장들이 초토화되고 있다”며 “인도적 지원물자 반출에 대한 통일부의 선별 승인 방침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