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부채 현황과 이해관계자들 견해
협력업체 “강제인가” 외국채권단 “인가반대”
부채 1조1940억…주주·채권자 처지따라 입장 달라
산은은 ‘느긋’…청산땐 4800 임직원·평택경제 ‘휘청’
부채 1조1940억…주주·채권자 처지따라 입장 달라
산은은 ‘느긋’…청산땐 4800 임직원·평택경제 ‘휘청’
쌍용자동차에 대한 ‘최후의 심판’이 나흘 앞으로 다가왔다. 쌍용차가 내놓은 회생계획안은 11월6일과 지난 11일 열린 두번의 관계인 집회(주요주주·채권단 회의)에선 외국 채권단의 반대로 부결됐다. 이에 따라 법원은 다시 관계인 집회를 열지 않고 17일 최종선고를 내리겠다고 밝힌 만큼 결정이 더 미뤄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
법원이 내릴 결정은 직권으로 회생안을 인가할 것인가, 아니면 표결 결과대로 회생안을 폐지할지 여부다. 회생안을 폐지하는 순간 지난 2월 6일부터 진행돼온 쌍용차의 기업회생절차(옛 법정관리)가 취소되는 동시에 쌍용차는 청산절차에 들어간다. 청산은 채권자들의 ‘빚잔치’다. 쌍용차의 자산을 모두 처분해 각 채권자들에게 분배되는 과정인 것이다.
현재 쌍용차의 부채는 모두 1조1940여억원인데 이 가운데 담보를 잡힌 채권은 2594억원이며 무담보 채권이 9346억원 정도다. 무담보 채권의 41%가 외국 채권단이 가진 전환사채(CB)이며 협력업체들이 쌍용차에 부품을 납품하고서도 돈을 받지 못해 남은 ‘상거래 채무’도 3550억원 정도 된다. 대부분 산업은행이 보유한 담보채권은 청산절차에 들어가더라도 원금을 거의 돌려받을 수 있지만, 무담보 채권자들은 큰 손실이 불가피하다. 삼일회계법인이 계산한 쌍용차의 청산가치는 9560억원으로, 부채보다 훨씬 적다.
쌍용차 처리를 둘러싼 논란에서 주주와 채권자들은 각자 처지에 따라 서로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주로 담보채권을 보유한 산은은 느긋하다. 산은 류희경 기업구조조정실장은 “청산이 되면 담보권을 행사하고 자금을 회수하면 된다”며 “법원의 강제인가 결정이 나더라도 추가 자금 지원은 검토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에 무담보 채권만 들고 있는 외국 채권단은 남아 있는 쌍용차의 자산을 조금이라도 더 가져가려고 치열한 다툼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 채권단은 처음부터 쌍용차 회생안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쌍용차가 회생안에서, 전환사채를 보유한 채권자한테는 채권액의 10% 삭감과 함께 주식 전환도 일부만 허용하는 구상을 밝혔기 때문이다. 외국 채권단은 마지막 관계인 집회를 앞두고 법원에 회생안을 인가하지 말도록 요청하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쌍용차가 청산할 경우 가장 큰 피해는 쌍용차 직원들과 평택 지역 사회, 부품 협력업체로 돌아간다. 4800여 쌍용차 임직원들은 한순간에 일자리를 잃게 되고 이것이 평택 지역 경제에 끼치는 충격은 엄청나다. 주거래기업이 쌍용차인 250여 1차 협력업체도 연쇄도산하는 것은 물론, 2~3차 협력업체도 매출 기반이 크게 줄어 수천명의 직원들이 실직 위기에 몰리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3550억원의 상거래 채무를 갖고 있는 협력업체들은 “법원이 강제인가를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당장 돈을 받는 것 이상으로 쌍용차가 계속 영업을 해 자신들이 부품을 납품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지난 10일 공동으로 ‘회생인가를 승인하라’는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쌍용자동차 채권단 등 관계자들이 지난 11일 쌍용차 관계인집회가 열린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 파산부 1호 법정 앞에서 출석 확인을 받기 위해 관련 서류를 법원 쪽에 제출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