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와 역사연구단체협의회는 3일 오전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중학교 역사·사회교과서 8종에서 한국사와 관련해 잘못된 부분을 고칠 것을 요구하는 수정요구서를 일본대사관에 전달했다.
두 단체가 수정을 요구한 부분은 후소사 교과서가 21건으로 가장 많고, 도쿄서적과 오사카서적 등이 낸 나머지 7개의 교과서도 각각 6~10건씩이다. 대표적인 왜곡 사항은 “일본 정부는 일본의 안전과 만주의 권익을 방위하기 위해 한국의 병합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후소사)며 침략의 본질을 호도하거나, 일본군 위안부를 ‘모집’(일본서적)했다고 표현한 부분 등이다. 또 일부 교과서가 위안부 문제를 다루지 않는 점도 고의적인 역사 왜곡이라고 이들은 수정요구서에서 밝혔다.
이들은 수정요구서에서 “교과서를 편찬하고 사용하는 것은 국가의 고유 권한이지만, 모든 나라는 자국의 역사가 다른 나라에서 부당하게 왜곡되는 것에 대해 시정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며 “특히 2001년에도 가장 많은 문제점을 보인 후소사 교과서는 이번에 한국사를 더욱 심하게 왜곡했다”고 밝혔다.
양미강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상임운영위원장, 안병우 한신대 교수, 최윤오 연세대 교수 등 대표 3명은 이날 일본대사관에 들어가 야마모토 야쓰시 1등 서기관에게 수정요구서를 전달했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