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전통 민화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이미지의 호랑이들. 한결같이 친근하고 해학적인 묘사를 보여준다.
[올해의 동물] 호랑이
2010년 경인년 새해의 동물은 호랑이다. 호랑이해는 갑인(甲寅), 병인(丙寅), 무인(戊寅), 경인(庚寅), 임인(壬寅)의 순으로 육십갑자가 순환한다. 특히 경인년은 호랑이 중에서도 백호(白虎)에 해당된다. 백호는 서쪽을 지키는 신령으로 민속에서는 상상의 동물로 묘사한다. “사람을 해치지 않는 영물이다. 하지만 지도자가 악행을 저지르거나 인륜을 거스르는 일이 많아지면 광포해진다”, “백호가 나타나면 권력자는 몸을 낮추고 부자는 탐욕을 부리지 않는다”고 한다. “산전수전 겪은 호랑이가 세상 이치를 깨달으면 털이 희게 변한다”고 한다. 육당 최남선 선생의 말대로라면 대한민국은 ‘호랑이 나라’로 전통문화 도처에 그 모습을 나타낸다. 중국의 용, 인도의 코끼리, 이집트의 사자처럼 한국을 대표하는 동물이 바로 호랑이다. 산악 지역인 한반도는 일찍부터 호랑이가 많이 산다 하여 ‘호랑이 나라’로 일컬어지기도 했다. 인류의 대제전인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도 ‘호돌이’가 마스코트로 한국을 대표했다. 백호는 지도자가 악행을 저지르거나 인륜을 거스르면 광포해지는 영물이다. 산전수전 거쳐 세상이치 깨달으면 그제야 흰털을 갖게 된다
만봉 스님이 그린 불화 속 십이지신상 가운데 긴 장검을 든 호랑이 신상. 도판 제공 국립민속박물관
서울올림픽 때는 호돌이로, 일상에선 각종 상표로 현대인들의 가슴속을 누비는 호랑이는 숲을 나와 도심 한가운데를 어슬렁거린다 설화에서 호랑이는 영웅, 특히 건국 시조의 수호자로 등장하고 있다.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이 아직 포대기 속에 싸여 있을 때이다. 그 아버지는 들에서 밭을 갈고 어머니는 아버지에게 밥을 갖다 주려고 어린아이를 나무 밑에 놓아 두었더니 호랑이가 와서 젖을 먹였다. 호랑이는 견훤의 인물됨을 미리 알아보는 신령스러운 동물로 묘사되어 있다. 왕건과 이성계 등 다른 건국 시조들의 설화에서도 호랑이의 적극적인 보호는 어김없이 나타난다. 호랑이는 효의 수호신 겸 후원자로도 자주 등장한다. 한성에 사는 박씨는 효성이 지극한 사람이었다. 그는 선친을 잃은 뒤부터 하루도 빠짐없이 선친 묘에 참배하였다. 선친 묘로 가는 어느 날 박씨가 재를 넘는데, 호랑이가 나타났다. 박씨가 자신은 선친 묘에 가야 한다고 호통을 치자 호랑이가 등에 타라는 시늉을 하였다. 박씨를 태운 호랑이는 선친 묘까지 와서 안전하게 박씨를 내려 주었다. 집으로 올 때도 이와 같이 하여 삼년 동안 계속되었다. 세월이 흘러 박씨가 죽게 되었는데, 그의 묘 앞에 호랑이가 한 마리 죽어 있어 집안 사람들이 그 옆에 묻어 주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동물인 호랑이는 건국시조와 효의 수호자이며 잡귀를 물리친다. 우리 조상들은 좋아하면서도 싫어하고 무서워하면서도 우러러보았다
호랑이가 소나무 위 까치와 수작하는 모습을 그린 단원 김홍도의 대작 <작호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