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침수 피해 반발따라
정부가 낙동강 함안보 건설에 따른 주변 지역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보의 높이를 축소하는 설계 변경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발표한 ‘4대강 사업’의 첫 설계 변경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수자원공사와 경남도는 6일 경남 함안·창녕·의령군 등 함안보 주변 지역의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애초 7.5m로 계획돼 있는 함안보의 관리수위를 5m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자원공사는 이달 중순 함안군청에서 주민설명회를 열어 관리수위 조정 방안을 공개하고, 주민들의 동의를 얻으면 이달 말까지 조정 계획을 확정한 뒤 다음달 20일께까지 설계 변경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영우 한국수자원공사 함안보 담당팀장은 “설계 변경을 통해 함안보 수문의 높이를 50㎝~1m가량 낮춰 관리수위를 애초 계획보다 2.5m 낮추면 보 건설로 확보할 수 있는 수량이 1억3000만t에서 9000만t으로 줄어들겠지만, 보 때문에 침수되는 주변 면적은 애초 13.6㎢에서 0.7㎢로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보의 규모 축소가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수자원공사 내부에서는 침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이라는 판단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함안보 주변 지역 침수 피해 가능성을 처음 제기했던 박재현 인제대 교수(토목공학)는 “관리수위를 낮추면 피해 면적은 줄어들겠지만, 피해 예상 면적은 13.6㎢가 아닌 43㎢”라며 “수자원공사가 기대하는 만큼 피해를 줄이려면 관리수위를 3m 이하로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해 6월 ‘4대강 사업’ 마스터플랜을 발표한 뒤, 학계와 환경단체들 사이에서 함안보가 건설되면 주변 저지대의 침수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을 빚어왔다.
창원/최상원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