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페어플레이 이미지 실추”
IOC 진상조사땐 파장 커질듯
IOC 진상조사땐 파장 커질듯
천신일 대한레슬링협회장의 “베이징올림픽 심판에게 금전 살포” 발언(<한겨레> 7일치 8면)으로 한국 체육계가 발칵 뒤집혔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7일 “한국의 페어플레이 이미지가 호도될 수 있다”며 “국제사회에서 이미지 실추가 걱정된다”고 난감해했다.
그동안 여러 국제대회에서 ‘심판 매수’ 소문은 무성했지만 은밀한 거래의 특성상 잘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특급 심판은 내가 직접 돈을 건넸고, 1급 심판들에겐 협회 간부가 줬다. 관행이었다”는 천 회장의 발언이 사실이라면 그 일각이 드러난 셈이다. 1988년 서울올림픽 때 축구나 핸드볼, 권투 등에서도 한국은 심판 판정과 관련해 석연찮다는 시선을 받았다. 당시 대한축구협회 관계자는 “같은 조의 소련 팀에게 대우 버스 몇 대를 줬다”는 얘기를 자랑처럼 했다. 2002년 한·일월드컵 때도 심판 판정에 대해 국제적 비난이 쏟아지기도 했다. 천 회장의 말대로라면 심판 매수가 다른 종목에서도 이뤄졌을 개연성이 큰 셈이다.
이에 대해 레슬링협회 관계자는 “보통 국제대회에 나가면 선수 시절부터 알던 사람들이라 심판들에게 조그만 선물이나 식사 대접은 한다”며 “모두 파렴치하게 보지 말라”고 했다. 그러나 ‘깨끗함’과 ‘윤리’를 강조해온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진상 조사를 벌인다면 문제가 심각해진다. 아이오시는 세계의 스포츠 관련 기사를 스크린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쟁국들이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다. 또 2월 밴쿠버올림픽 등 국제대회에서나 2018년 평창 겨울올림픽 유치 작업 등에서 암묵적인 불이익이 올 수도 있다. 레슬링을 오래 후원해온 이건희 아이오시 위원의 활동도 같은 맥락으로 비춰져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신문선 명지대 기록정보대학원 교수는 “올림픽 메달을 따면 국격이 높아진다는 사고가 빚은 참사”라고 지적했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