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8일 의원총회에서는 추미애 환경노동위원장에 대한 징계 문제를 둘러싼 당내 이견이 여과없이 표출됐다.
먼저 부산 출신 재선인 조경태 의원은 신상발언을 자청, "국회의원은 헌법기관으로, 당론 우선의 시대는 지났다"며 "이젠 당론이란 것을 장롱 속에 넣어버려야 할 때"라며 추 위원장을 두둔했다.
그는 "문제가 있으면 조용히 내부적으로 정리하는 지도력을 발휘해야지, 마녀사냥식으로 몰아가며 집안싸움을 만들어 대국민 망신을 당하게 하는 의도가 무엇이냐"며 지도부에 직격탄을 날렸다.
그러면서 "대여관계에서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한 채 적전분열만 초래한 지도부야 말로 해당행위를 자행한 만큼 징계대상"이라며 "지도력과 협상력 부재를 자인하고 용단을 내려야 한다"고 지도부 사퇴론을 제기했다.
조 의원 이외에 김영진 의원도 "일단 본인의 소명을 들어보자"고 가세했고 최규식 의원은 "당내 문제를 확산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그러나 환노위원인 김재윤 김상희 의원과 최영희 5정조위원장, 안규백 의원 등은 징계의 당위성을 강조하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최 의원은 "초선스타가 될 생각이었으면 나도 당론을 안따를 수 있다"며 "이번 사태를 내버려두면 당이 존재할 이유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사자인 추 위원장은 의총장을 돌며 정세균 대표를 비롯, 의원들에게 악수를 청했으나 의총 시작전에 자리를 떠 일부 의원으로부터 "소명도 안하고 떠나느냐" 라는 따가운 시선을 받기도 했다.
정 대표는 의총에서 당 일각의 책임론을 의식한 듯 "연말 4대강 예산과 노동법을 막지 못한 결과에 대해 책임을 느끼며 그 책임의 중심에는 당 대표가 있다"며 "더 성찰, 통감, 반성하면서 어떻게 심기일전할지 책무를 고민하겠다"고 했다. 한편 의총에선 정 대표와 국회 문방위 소속의 천정배 최문순 장세환 의원 등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한 의원들에 대한 원내 복귀 문제도 거론되는 등 이들의 회군 시점도 임박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박지원 정책위의장은 "정 대표와 문방위 3인방은 하루빨리 들어와 힘을 합쳐야 한다. 언제까지 밖으로 돌 것인가"라며 이들의 복귀에 대한 의총 결의를 제안했다. 이와 관련, 문방위 3인방도 전날 만찬 회동을 갖고 거취 문제를 논의하는 등 복귀 시기와 명분에 대해 고심을 거듭하는 모습이다. 송수경 강병철 기자 hanks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정 대표는 의총에서 당 일각의 책임론을 의식한 듯 "연말 4대강 예산과 노동법을 막지 못한 결과에 대해 책임을 느끼며 그 책임의 중심에는 당 대표가 있다"며 "더 성찰, 통감, 반성하면서 어떻게 심기일전할지 책무를 고민하겠다"고 했다. 한편 의총에선 정 대표와 국회 문방위 소속의 천정배 최문순 장세환 의원 등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한 의원들에 대한 원내 복귀 문제도 거론되는 등 이들의 회군 시점도 임박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박지원 정책위의장은 "정 대표와 문방위 3인방은 하루빨리 들어와 힘을 합쳐야 한다. 언제까지 밖으로 돌 것인가"라며 이들의 복귀에 대한 의총 결의를 제안했다. 이와 관련, 문방위 3인방도 전날 만찬 회동을 갖고 거취 문제를 논의하는 등 복귀 시기와 명분에 대해 고심을 거듭하는 모습이다. 송수경 강병철 기자 hanks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