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립위원회(이하 위원회)가 1948년을 ‘대한민국 수립’ 시점으로 표기하려는 전시 시안에 대해 독립유공자 단체인 광복회에 이어 국가보훈처도 반발하자, 28일 이를 철회했다.
위원회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1948년을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시점으로 고치는 것을 뼈대로 하는 전시 기본안을 의결했다. 위원회는 지난 15일 ‘대한민국 수립’이 1948년이라는 시안을 거론했다가 임시정부를 부정한다는 역사왜곡 논란을 빚었으며, 광복회는 지난 25일 회견을 열어 “문화체육관광부 앞에서 반대 시위를 벌이겠다”고 반발한 바 있다.
의결된 전시안은 크게 ‘대한민국의 태동’, ‘대한민국의 기초 확립’,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 ‘대한민국 선진화와 세계로의 도약’으로 나뉜다. 특히 1948년 정부 수립 이전 역사를 담은 ‘대한민국의 태동’은 애초 ‘대한민국의 여명’이었으나, 이를 ‘…탄생’으로 고쳐야 한다는 광복회의 주장을 고려해 절충적 표현인 ‘태동’으로 바꿨다고 추진단 쪽은 설명했다. 그러나 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을 건국 시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광복회 쪽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차창규 광복회 사무총장은 “시안 수정에 따라 28일 문화부 앞 시위는 하지 않기로 했지만, 전시안이 요구 내용을 제대로 수용했는지는 회장단, 지부장들과 검토한 뒤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