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진보 성향의 시민단체들은 정부의 자주적 평화외교정책을 주문한 반면 보수 성향의 시민단체들은 '한미혈맹'의 원상 복구를 주문해 대조를 보이고 있다.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평통사)과 참여연대 등 64개 시민사회단체는 8일 오전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한미 정상회담이 자주적 평화외교정책의시험대가 될 것"이라며 "노무현 대통령의 정책적 일관성 및 의지가 이번 정상회담을통해 검증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우선 대북 문제에 대해 "한반도 핵 문제는 대화와 협상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하며 대북 제재와 무력사용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노무현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에서 부시 대통령에게 대북 추가 제재조치를 반대한다는 명확한 의사를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동맹에 대한 지역적 의미 규정', `방위협력지침 제정 및 해외출동 사전동의(협의)제 도입'등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허용하는 어떤 합의도 해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중요한 문제는 미국 대통령이 아닌 국민과 먼저 상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보수 성향 인사들이 모인 `자유민주비상국민회의 결성준비위'는 이날오후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무현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 포기를 위한 한미간 정책조율에 최선을 다하고 '한미혈맹'을 원상 회복시켜야 한다"고촉구했다.
비상국민회의는 또 "6ㆍ15공동선언은 남북 화해 교류협력과 통일을 위한 방안이아니라 북한 군사독재 정권을 도와줄 뿐"이라며 무효화를 요구하고, 북한에서 `6ㆍ15평양축전'이 열리는 15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6ㆍ15선언규탄 국민행동대회'를 열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